2024년 11월 24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국내 해수면 2050년까지 25cm 상승”...곳곳 경고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2.12 09:01
빙하

▲녹고 있는 빙하. 연합뉴스

지구온난화 가속으로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 상승을 경고하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상 상승하면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해수면이 상승한다는 우려다.


해수면 상승으로 당장 피해를 본다면 극한호우가 발생할 때다. 기후변화로 극한호우가 빈번해지는 이때 해수면 상승은 극한호우의 피해 더 키울 수 있다.


해수면

▲해수면 높이 변화 표. 국립해양조사


12일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평균 해수면은 2050년은 최대 25센티미터(cm) 2100년에는 82cm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해양조사원이 조사한 자료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6차 보고서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온실가스가 저감 없이 배출되는 고탄소 시나리오를 반영한 것이다.




반면, 온실가스 저감이 잘 실현되는 저탄소 시나리오에서 해수면 높이는 2050년까지 20cm, 2100년에는 47cm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조사원은 '바다누리 해양정보 서비스'에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미래 해수면 상승 전망을 공개하고 있다. 해양조사원은 해마다 해수면 높이를 조사 중이며 올해 상반기에 연평균 해수면 높이 자료를 바다누리 해양정보 서비스에 공개할 예정이다.


해수면 상승이 국내에 미치는 가장 큰 위험으로 극한 호우 발생 시 피해를 더 키운다는 점이 꼽힌다. 해수면이 기후변화로 오른 상태서 만조와 집중호우가 겹치면 침수피해가 더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수면과 함께 해수면 온도도 상승하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국내 평균 해수면 온도는 근미래(2021~2040년)에 약 1.05~1.11도 상승하는 것에 비해 중미래(2041~2060년)에는 약 1.44~2.20도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했다. 감축 없는 지속적인 개발을 가정한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해수면 온도가 더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기상청은 고해상도 해양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IPCC 6차 평가보고서 기준에 따라 해수면 온도를 예측했다.


저탄소 시나리오는 재생에너지 기술 발달로 화석연료가 최소화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가정했다.


저탄소 시나리오 대비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해수면 온도의 더 큰 변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높은 해수면 온도는 태풍 등 해양위험 기상을 강화하고 육상 기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기상청은 “이같은 위험을 예측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환경단체인 그린피스도 국내 해수면 상승 및 이상 기후 현상으로 인한 피해를 경고하고 나섰다.


그린피스는 2030년 우리나라 국토의 5% 이상이 물에 잠기고, 약 332만 명이 직접적인 침수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이 현 추세대로 증가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이 1.5도를 넘어가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해수면 상승에 연간 10%의 확률로 발생할 수 있는 강력한 태풍이 더해졌을 때의 피해 규모를 산정했다.


이에 그린피스는재생에너지 및 전력망 확충, 전기차 전환 가속화, 탄소세 도입 등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해수면 상승에 대비해 해양도시 건설 움직임도 있다.


부산시는 유엔 해비타트(UN-HABITAT·인간정주계획),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둔 '오셔닉스'와 함께 부산항 북항 앞바다에 세계 최초 해상도시 '오셔닉스 부산' 조성을 추진 중이다.


부산항 북항에 육지와 다리로 연결한 해상 부유식 플랫폼 3개, 전체 6.3헥타르(㏊) 규모로 설계해 1만2000명을 수용할 계획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