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 폭이 기저효과와 이상기온 등의 영향에 17만명대로 3년여만에 최소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고 청년층 고용률도 6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반면 제조업 취업자는 반도체 생산 호조 영향으로 넉 달째 증가세를 이어갔고 방한 관광객이 늘면서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도 석 달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정부는 내수·건설수주 부진 등을 위험 요인으로 꼽으면서도 수출 중심의 경기 회복세를 반영해 고용시장이 양호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39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3000명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지난 2021년 2월 47만3000명 줄어든 뒤로 3년 1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 2022년 1월 113만5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둔화해 작년 하반기 이후 20만∼30만명대를 유지해왔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3월 취업자 증가세 둔화는 작년 3월 취업자가 많이 늘어난 데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이 있다"며 “기온저하 여파로 농림어업 쪽에서도 취업자 감소 폭이 컸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1분기 월평균 취업자 증가 폭은 29만4000명으로 작년 4분기(30만3000명)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가 13만1000명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작년 7월(-13만8000명) 이후 가장 많이 줄었다. 주로 보건복지· 교육서비스·도소매 등 업종에서 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 취업자가 많이 줄면서 청년층 고용률도 1년 전보다 0.3%포인트(p) 하락한 45.9%를 기록, 6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다만 청년 실업률은 0.6%p 하락한 6.5%로 3월 기준으로 역대 가장 낮았다.
서운주 국장은 “최근 경력 채용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취업 연령이 20대에서 30대로 넘어가는 추세"라며 “청년층 고용률 수준 자체는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40대 취업자도 도소매·건설업 등 부진 영향으로 7만9000명 감소했다.
반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23만3000명 늘며 증가세를 견인했고 30대와 50대도 각각 9만1000명, 5만9000명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농림어업 취업자가 5만명 줄며 지난 2017년 3월(-5만6000명)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도소매업은 1만4000명 줄며 작년 9월(-1만7000명) 이후 6개월 만에 다시 감소세를 기록했다.
교육서비스업 취업자도 3만3000명 줄면서 6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교육현장 방역인력이 줄어든 영향이다.
제조업 취업자는 4만9000명 늘었다. 작년 12월 이후 4개월째 증가세다. 내수 부진 영향으로 줄던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방한 관광객 증가 영향으로 7000명 늘며 3개월 만에 다시 증가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직이 28만6천명 늘었다. 지난 2021년 3월(20만8000명) 이후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다만 상용직 비중은 57.6%로 3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임시직은 9만7000명 늘었고 일용직은 16만8000명 줄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000명 증가했고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와 무급가족 종사자는 각각 3만5000명, 7000명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4%로 1년 전보다 0.2%p 상승했다. 지난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 이후 3월 기준으로 가장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9.1%로 지난 1989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3월 기준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업자는 89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5만2000명 늘었다. 실업자는 작년 11월 이후 5개월째 증가세다. 실업률은 3.0%로 1년 전보다 0.1%p 상승했다.
정부는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세가 지속하면서 고용 상황도 양호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많이 늘어난 취업자 증가 폭이 점차 장기 추세로 복귀하면서 작년보다는 둔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가 전망한 올해 월평균 취업자 증가 폭은 23만명이다.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있고 건설수주가 부진한 점은 고용 호조세를 제약하는 하방 요인으로 꼽았다.
조성중 기재부 인력정책과장은 “수출·내수 회복과 경제 역동성 제고를 통한 민간 중심 양질의 일자리 창출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