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 솔루션(DS)부문에 대한 비정기 인사를 단행했다. 경쟁사 대비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매출 등 각종 실적이 부진해 DS부문장이던 경계현 사장을 사실상 2선으로 퇴진시키고 부회장급 인사를 앉혀 책임 경영을 강화하려는 포석으로 분석된다.
21일 삼성전자는 미래사업기획단장을 맡고 있던 전영현 부회장을 DS부문장으로 발령내며 경 사장과의 자리를 맞바꿨다. 3년 5개월만의 수장 교체다. 통상 삼성전자 정기 인사는 12월에 이뤄지는데, 5월인 이 시점에 'C레벨' 인사를 낸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는 평가다.
삼성전자 고위 관계자도 “기획 담당 조직에서 자료를 내고서야 인사가 났다는 사실을 알았다"고 말해 이번 인사가 갑작스럽게 난 것임을 짐작케 한다.
삼성전자 측은 보도자료를 통해 불확실한 글로벌 경영 환경 아래 대내외 분위기를 일신함으로써 미래 반도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라는 다소 건조한 문체로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내막을 살펴보면 위기를 의식한 문책성 인사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지난해 DS부문은 매출 66조5944억원, 영업손실 14조8794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 대비 매출은 32.36% 떨어졌다. 23조8158억원의 영업이익은 대규모 적자로 돌아섰다. 메모리 가격이 2022년 하반기에 급락해 동종 업계는 웨이퍼 투입량을 줄여나갔지만 삼성전자 DS부문만은 “인위적 감산은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나 경 사장의 판단과는 달리 반도체 시장의 불황기는 길었고, 작년 4월 1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하면서 메모리 감산을 발표해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결단이 늦었다는 평이 나왔다. 삼성전자 DS부문의 재고 자산 규모는 2021년 16조4551억원어치였으나 2022년 29조576억원 수준으로 급증했고, 작년에는 30조9987억원 규모로 소폭 늘었다.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시대가 본격화 됨에 따라 고성능 D램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도 더욱 커지고 있다. SK하이닉스는 2013년 세계 최초로 HBM을 상품화 했다. 당시에는 높은 가격과 발열, 박한 이익률 등이 문제점으로 꼽혔지만 SK하이닉스는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필요할 것이라는 계산 아래 관련 기술 개발에 꾸준히 박차를 가했고, 그 결과 HBM 분야 세계 시장 점유율 53%로 1위를 차지했다. 올해 3월부터는 AI 연산 작업의 핵심인 그래픽 처리 장치(GPU) 시장을 장악한 엔비디아에 5세대 HBM인 'HBM3E' 납품을 시작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에 밀려 시장 점유율 35%를 기록하고 있다. 또 작년에는 반도체 공급사 1위 타이틀을 인텔에 허용했다. 반도체 위탁 생산(파운드리)을 담당하는 시스템 LSI 사업부도 TSMC와의 경쟁에서 점점 밀려나는 모양새다.
시장 조사 업체 트렌드 포스는 지난해 4분기 파운드리 시장에서 TSMC가 61.2%를 점하고 삼성전자는 11.3%에 불과하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3분기 대비 격차가 4.4%p 더 나게 된 것이다.
이처럼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 전반이 더 이상 1등이 아니고 2등으로 밀려났다는 위기감이 경계현 사장에 대한 '레드 카드'로 이어졌고, 부회장급으로 조직 수장의 격을 높여 비상 경영에 돌입했다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신임 DS부문장인 전 부회장은 전자공학도로, LG반도체에서 근무한 바 있다. 그는 2000년 삼성전자 메모리 사업부에 입사한 이래 D램·낸드 플래시 개발, 전략 마케팅 업무 등을 거쳤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는 메모리 사업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삼성SDI 대표이사직을 5년 간 수행했고, 지난해 말부터는 미래사업기획단을 진두지휘하며 삼성의 다음 먹거리를 찾아왔다.
삼성전자는 전 부회장으로 하여금 HBM 등 차세대 반도체 주도권을 확보하는 임무를 부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일선 CXO 연구소장은 “내년 3월까지의 임기를 앞둔 경 사장이 자진 사퇴 형식으로 퇴진했고, 전 부회장이 빈 자리를 메운 것은 경영 환경이 급박함을 드러낸다"며 “이번을 시작으로 올해 말의 임원 인사 폭은 작년 말보다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 소장은 “1960년생인 '올드 보이' 전 부회장이 전진 배치된 것은 역설적으로 지금의 위기 상황을 극복할만한 핵심 인재에 젊은 CEO급 인사가 마땅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며 “사장급 이하에서는 1970년대생이 핵심 임원으로 기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