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7일(목)
에너지경제 포토

성우창

suc@ekn.kr

성우창기자 기사모음




당국발 알트코인 ‘패닉셀’… 거래소 “대량 상폐는 오해”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19 15:12

당국 ‘코인상장심사’ 소식에 알트코인 시세 급락
실상은 심사기준 강화 수준...자율규제는 그대로
업계 “일시적 공포, 무더기 상폐 없을 것” 해명

암호화폐 비트코인 모형

▲암호화폐 비트코인 모형

가상자산 투자자들이 근 사흘째 금융당국이 놓은 엄포에 떨고 있다. 거래량은 많지만 알트코인 대부분 시세가 급락했다. 투자자들은 금융당국의 상장유지 심사가 내달부터 시행될 경우 보유 코인 상당수가 사라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소식을 두고 투자자들이 지나친 반응을 보인다며 '대량 상폐 사태' 가능성을 일축했다.


19일 가상자산 정보플랫폼 코인게코에 따르면 국내 코인 거래시장 점유율 1위 업비트의 24시간 거래대금은 오후 기준 약 13억달러(한화 약 1조76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6일 5억달러에 비해 세배 가까이 급등한 수준이다. 빗썸, 코인원 등 타 국내 원화마켓 거래소의 거래량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코인 시장이 호황인 것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정작 비트코인을 포함한 대부분의 종목은 약세기 때문이다. 업비트 기준으로 비트코인·이더리움은 이번 주 들어 2%가량 하락했다. 밈 코인으로 유명한 시바이누·도지코인도 각각 10%대 약세다. 이들보다 규모가 더 작은 코인들은 수십 퍼센트대 하락 중이다. 반면 최근 1주일새 가장 많이 상승한 종목은 1인치네트워크(1.67%), 리플(1.12%) 등 1%대 상승에 그쳤다.


이는 최근 금융당국이 발표한 가상자산의 상장유지 여부 심사제도 도입 소식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주 금융당국은 내달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을 앞두고 국내 상장 코인의 부실 여부를 직접 평가하겠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이 국회에 제출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각 거래소는 자사에 설치된 심사위원회에서 분기별로 상장 종목이 기준에 부합하는지 평가하고 미달할 경우 상장 유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수많은 코인이 저마다 목적과 비전을 앞세워 거래소에 상장됐지만, 정작 실제로 효용성을 보이는 종목은 얼마 되지 않는다. 이에 투자자들도 대다수 코인의 상장폐지를 예상해 앞다퉈 매물을 내놓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21년 특금법 내 '암호화폐 자금세탁 방지법' 도입 당시에도 시장 위축을 우려한 투자자들이 패닉셀 현상을 보인 것과 겹치는 모습이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이를 투자자들의 지나친 우려라고 설명한다. 이번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은 기존 DAXA(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의 자체 거래지원 심사 공통 가이드라인을 금융당국의 지원을 받아 고도화한 작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어디까지나 자율규제의 일환이기에 금융당국이 상장코인을 개별적으로 들여다보는 등 특별히 엄격해지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이날 업비트에서도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이와 같은 입장을 밝히며 일부 커뮤니티에 돌아다니는 '거래지원 종료 목록'은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대량 거래지원 종료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사실상 부인한 것이다. 타 거래소 관계자들도 곧 투자자들의 오해가 풀릴 것으로 보이는 만큼 업황에 장기적인 타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보고 있다.


가상자산업계 한 관계자는 “사실 지난 2021년 특금법 이슈 때도 투자자들이 우려하는 것처럼 '무더기 상폐'는 발생하지 않았다"며 “상장 코인 대부분이 퇴출당하는 상황은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며, 곧 오해가 풀리면 투자자들도 돌아올 것"이라고 밝혔다.


DAXA 관계자는 “각 거래소에서 현재 금융당국의 지원을 받아 거래지원 모범사례를 마련 중"이라며 “가급적 이른 시일 내 발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