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8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성우창

suc@ekn.kr

성우창기자 기사모음




‘하반기 IPO 대어’ 시프트업, 몸값 고평가 논란...日 IP 공룡이 비교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25 14:45

니케 등 대표작 흥행으로 연 매출 2400억원 전망

공모가 산정 기준이 매출 ‘2조~6조’ 일본 기업들

파두·이노그리드 맡은 한투·NH 공동주관사 ‘눈총’

지분 35% 텐센트 오버행 이슈에는 “관계 좋다”

김형태 시프트업 대표이사

▲김형태 시프트업 대표이사. 사진=서울IR

시프트업이 몸값 고평가 논란에 휩싸였다. 올 하반기 조 단위 '대어급' 기업공개(IPO)로 기대를 모았지만, 비교 기업군으로 제시된 3사가 오랜 기간 인기를 끈 지식재산권(IP)을 대량 보유한 일본 기업이기 때문이다. 2대 주주 텐센트에 의한 오버행 우려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25일 시프트업은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장 후 사업 전략 및 비전에 대해 발표했다. '승리의 여신 : 니케(이하 니케)' 및 '스텔라 블레이드' 등 보유작을 장기적인 제품생애주기(PLC)를 가진 IP로 발전시켜 지속가능한 수익 성장을 노리겠다는 포부다.


오는 6월 27일까지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7월 2일과 3일 일반투자자 청약을 진행한다. 7월 중 상장 예정으로, 공동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 제이피모간증권, NH투자증권이다.


시프트업은 단 2종의 IP를 보유한 데 비해 게임사 가운데 상당한 수익성을 가진 곳으로 평가받는다.


시프트업의 지난 2022년 매출은 661억원에 불과했으며, 순손실 71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대표작 니케의 출시·흥행으로 작년 매출 1686억원, 순이익 1067억원(흑전)으로 급성장했다. 올 1분기도 매출 374억원, 순이익 247억원으로 기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지난 4월 출시한 스텔라 블레이드 역시 국산 AAA급 콘솔 게임 중 가장 성공한 작품으로 꼽히며, 이에 힘입어 작년을 뛰어넘는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리라는 관측이다. 상상인증권에서는 시프트업의 올 연간 매출 예상액을 2350억원, 2025년 3043억원으로 집계한 상태다.


◇ 매출 '2조~6조원' 일본 대형 IP 보유사로 공모가 산정

이런 가운데 시프트업의 '몸값' 산정방식을 두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시프트업과 주관사가 제시한 공모가 밴드는 4만7000원~6만원, 밴드 상단 기준 예상 시가총액은 약 3조5000억원이다. 작년 11월 텐센트가 지분 4%를 매수할 당시 몸값을 2조원으로 산정했던 점을 감안하면 불과 6개월여 사이에 1조5000억원이 더 뛴 것이다. 공모 밴드 산정에 적용된 기준 주가수익률(PER)은 39.25배로, 여기에 14.8%~33.26%의 할인율이 적용돼 현재의 밴드가 정해졌다.


그런데 이 PER 산정에 참고된 비교기업들이 하나같이 일본 굴지의 대규모 IP 보유사라는 점에서 적절한 비교가 맞는지 의문이 제기된다.


시프트업이 비교군으로 제시한 기업은 일본 스퀘어에닉스, 사이버에이전트, 카도카와 등 3사다. 이중 스퀘어에닉스는 약 40년 동안 시리즈가 유지되며 일본 양대 RPG라고도 불리는 '파이널 판타지', '드래곤 퀘스트' 등을 보유한 게임사다. 일본뿐 아니라 동서양 통틀어 막강한 팬덤, 즉 고정 구매층이 존재한다.


사이버에이전트는 게임사·블로그 운영사를 포함해 6개 계열사를 보유한 곳으로, 이 중 사이게임즈가 보유한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는 글로벌 누적 매출 2조원을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니케의 누적 매출이 2000억원 남짓인 것에 비하면 규모 차이가 상당하다.


카도카와는 스텔라 블레이드, 네오위즈의 'P의 거짓'의 원류가 된 '다크 소울' 개발사 프롬소프트웨어를 거느린 회사다. 오히려 게임이 아니라 애니메이션, 라이트노벨, 만화 등 타 서브컬처 IP를 대량 보유한 것으로 더 유명하다.


이들 3사의 최근 연간 매출액은 한화로 2조원~6조원 수준으로 시프트업의 실적 규모를 한참 상회한다. 그러면서 시가총액은 3~5조원으로 고속기어로 예상 시총과 비슷한 수준이다. 국내 게임사 카카오게임즈가 매출 1조원대에 시가총액도 1조원 중반대 수준이어서 차라리 이쪽과의 비교가 더 합당하지 않았냐는 의견도 나온다.


이에 대해 민경립 시프트업 최고전략책임자(CSO)는 “가장 잘 맞는 피어그룹을 찾기 위해 주관사단과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쳤다"며 “비교군과 매출 규모는 차이가 있으나 장르 유사성 등에 주목했고, 일본 내 매출 기여도가 높게 나와 해당 기업들로 선정했다"고 답했다.


파두·이노그리드 주관사들이 시프트업 공동주관...텐센트 오버행도 문제

이미 공모주 시장에서는 증권사들이 기업의 적정가치 분석보다 단기 수익을 위한 많은 물량을 확보하려는 성향으로 고평가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 공모주 시장은 최근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작년 '파두 사태'부터 최근 '이노그리드 사태'까지 사건사고도 계속되는 중이다. 특히 각각 파두와 이노그리드 IPO를 맡았던 NH투자증권·한국투자증권이 이번 시프트업 상장을 공동 주관한다는 사실도 주목된다.


중국 게임사 텐센트에 의한 오버행 이슈도 논란이 됐다. 텐센트는 자회사 에이스빌(ACEVILLE)을 통해 상장 후 시프트업 지분 35.03%를 보유하게 된다. 김형태 시프트업 대표와 특수관계인 지분 40%와 5%포인트밖에 차이 나지 않는다. 텐센트의 의무보유기간은 상장 후 6개월로, 이 이후 텐센트가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 알 수 없는 상태다.


시프트업측은“텐센트 지분에 대해서는 텐센트가 답하는 것이 맞을 것 같다"며 “다만 당사는 텐센트와 매우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