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27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작년 국민 1인당 가계순자산 2.4억...부동산↓·주식↑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7.18 14:09
초여름

▲지난해 말 기준 1인당 가계 순자산은 2억4427만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부동산 가격 하락 등에 따라 가구당 순자산이 약 2% 늘어나는 데 그쳤다. 우리나라 경제주체들이 보유한 전체 순자산인 국부 증가율도 2% 수준에 그쳤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1인당 가계 순자산은 2억4427만원으로 추정됐다. 2022년 말(2억4039만원)과 비교해 불과 1.6% 많다.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에서는 가계 부문만을 따로 추계하지 않는다. 이 추정액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 전체 순자산(1경2632조원)을 추계 인구(약 5171만명)로 나눈 값이다.


시장환율(2023년 중 1천306원/달러)로 환산한 1인당 가계 순자산은 18만7000달러다. 미국(46만5000달러), 오스트레일리아(39만3000달러), 캐나다(28만2000달러), 프랑스(23만 달러), 독일(22만4000달러), 영국(21만3000달러)보다는 적지만 일본(18만3000달러)보다는 많다.


구매력평가환율(2023년 중 933원/달러) 기준으로는 한국(26만2000달러)이 일본(22만9000달러)뿐 아니라 영국(23만7000달러)도 앞섰다. 미국(46만5000달러), 오스트레일리아(39만3000달러), 캐나다(29만8000달러), 프랑스(29만6000달러), 독일(29만3000달러)은 우리나라를 상회했다. 단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일본의 순자산과 환율은 2022년 말 기준으로, 직접 비교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전체 순자산(1경2632조원)은 전년보다 1.7%(210조원) 늘었다. 집값 하락에 따라 2.3%(-147조원) 줄어든 주택자산을 중심으로 비금융자산이 0.4%(-38조원) 감소했으나, 주가 반등 등에 따라 금융자산은 4.7%(+233조원) 늘었다.


한국은행.

▲자료=한국은행.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 구성 비중을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주택 50.3%, 주택 이외 부동산 25.2%, 현금·예금 19.1%, 보험·연금 11.5% 순이었다. 부동산 경기 부진과 함께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 비중은 2022년 77.1%에서 지난해 75.5%로 떨어졌다.


모든 경제 주체들이 보유한 국민순자산은 2경3039조원으로, 전년 대비 2.1%(472조원) 늘었다. 증가 폭은 2022년(3.1%·688조원)과 비교해 크게 줄었다. 국민순자산 증가율이 낮아지면서 지난해 말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2401조원) 대비 배율(9.6배)은 2022년(9.7배)보다 떨어졌다.


한은은 “비금융자산 중 토지 자산이 38조원 감소한 데다, 순금융자산의 증가 폭도 1년 사이 202조원에서 30조원으로 급감했다"며 “특히 국내외 주가 상승과 환율 변동이 거주자의 평가이익(대외금융자산)보다 비거주자의 평가이익(대외금융부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면서 거래 외 금융자산 증감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고 했다.


부동산(토지+건물) 자산은 1년 전보다 1.2%(207조원) 많은 1경6841조원으로 집계됐다.


주택가격 하락에 따라 주택시가총액(6839조원)은 1.7%(-118조원) 후퇴했다. GDP 대비 배율도 1년 사이 3.0배에서 2.8배로 낮아졌다.


한은이 이날 공개한 국민 대차대조표는 기준연도를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바꾼 결과다. 개편에 따라 2020년 말 국민순자산(1경8882조원)이 기존 시계열보다 5.3%(942조원) 늘었고, 2008∼2022년 국민순자산도 연평균 4.2% 증가했다. 주거용 건물과 부속 토지를 각각 산출하던 방식을 바꿔 이번 개편부터 주택자산 가치를 일괄 평가하면서 주거용건물 부속 토지 금액이 상향 조정된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