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4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은행권, ‘건설업’ 건전성 관리 비상등...부실대출 비율 급등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9.09 13:40
서울 주택

▲건설업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이 타 업종에 비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주요 시중은행의 건설업 부실채권 비율이 타 업종 대비 급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험과 내수 부진, 건설업 둔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9일 전국은행연합회 경영공시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올해 상반기 말 건설업 총여신은 28조6790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고정이하여신은 4575억원(1.60%)에 달했다.


작년 상반기 말 5대 은행의 건설업 총여신 24조1878억원 중 고정이하여신은 2825억원(1.17%)이었는데, 1년새 부실채권 비율이 0.43%포인트(p) 상승했다.


금융회사의 자산 건전성은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분류된다. 이 중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부실채권을 뜻한다.


은행별로 보면 NH농협은행은 건설업 대출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작년 상반기 말 1.96%에서 올해 상반기 말 2.35%로 뛰었다. 이 기간 KB국민은행은 1.58%에서 1.80%로, 우리은행은 0.26%에서 1.61%로, 하나은행은 1.13%에서 1.26%로, 신한은행은 0.70%에서 0.99%로 상승했다.




건설업의 고정이하여신은 타 업종과 비교해도 두드러진다. 올해 상반기 말 5대 은행의 전체 여신은 1008조1002억원이었다. 이 중 고정이하여신은 3조6878억원(0.37%)으로, 건설업 고정이하여신비율(1.60%)보다 낮다.


금융권에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험이 건전성 지표로 드러났다고 보고 있다. 특히 태영건설 관련 부실채권이 작년 말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계속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한국은행은 지난 6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금융기관 PF 대출 건전성이 악화한 가운데 증권사, 부동산 신탁사, 건설사의 우발 채무가 현실화하는 과정에서 다른 금융 부문으로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