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너지경제신문 이상욱 기자 올해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이 사상 최대인 2430만TEU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년도 2315TEU 대비 5% 증가한 물동량으로, 글로벌 해운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 부산항의 경쟁력과 효율적인 운영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성과란 평가다.
17일 부산항만공사(BPA)에 따르면 올해 부산항 수출입 화물은 1090만TEU로 전망되며, 이는 전년 대비 15만TEU(1.4%↑) 증가에 그쳤다. 하지만 환적 화물은 99만TEU(8%↑) 증가한 약 1340만TEU로 예상돼 이번 기록 달성의 주요 원동력이 됐다.
올해 성과는 환적 화물이 주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환적 화물은 제3국 간 교역되는 화물로서, 부산항에서 배를 바꿔탄 후 목적지로 향하는 다시 말해 부산항을 거쳐 가는 화물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에 따라 좌지우지되는 수출입 화물과는 성격이 다르다.
BPA는 글로벌 선사의 남미 신규 항로 4개 개설로 이어진 미주 및 일본 시장을 겨냥한 전략적 화물 유치 활동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BPA는 'CEO 주도의 발로 뛰는 마케팅'을 통해 머스크와 하파그로이드 등 글로벌 선사를 대상으로 부산항 기항의 이점을 어필했다.
아시아-미주 노선에 투입된 미주향 선박이 태평양 횡단 전 부산항에 기항할 경우, 아시아 어떤 항만보다 높은 수준의 소석률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부산항이 중국, 일본, 동남아를 연결하는 피더노선수 합계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미주향 대형 모선은 이 피더노선을 활용해 타 항만에서 출발하는 미주향 화물을 부산항에서 최대한 많이 집화해 선박을 만재할 수 있다.
이로써 선사 측은 부산항을 아시아에서 마지막 기항지로 활용함으로써 선대 운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부산항 입장에선 다량의 환적 화물을 유치할 수 있는 것이다.
CEO 주도 발로 뛰는 마케팅 주효
BPA는 이런 아시아 지역 마지막 기항지로서 경쟁 우위를 심층 분석한 정보를 선사들에게 제공해 글로벌 선사들이 부산항을 전략적 환적 거점으로 선택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했다. 그 결과 미국향 환적 화물은 전년 대비 18% 증가했으며, 캐나다향 환적 화물은 17%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 부산항의 2위 환적 시장인 일본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달성했다. 부산항 노·사·정 대표가 공동으로 일본 화주 대상 부산항 이용 촉진 설명회에 참가해 부산항의 경쟁력과 운영 효율성을 알렸다. 이 덕분에 설명회 개최 지역인 아키타와 이시카리 환적 화물이 전년 대비 8.8%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런 성과를 달성하는 데 올해 부산항 신항 제7부두이자 한국 최초 완전 자동화 컨테이너 부두인 DGT 개장으로 해상 공급망 혼란에 대응할 수 있는 하역 시설이 확충된 것도 한몫했다.
강준석 BPA 사장은 “러시아 전쟁과 홍해 사태에도 불구하고 부산항은 선제적 대응과 글로벌 선사와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굳건히 지켜냈다"며 “트럼프 집권 2기에 따른 미·중 무역 갈등 심화와 불확실성 속에서도 인프라 확충과 항만 경쟁력 강화를 통해 글로벌 물류 허브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