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7월 06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기자의 눈] '세계의 공장' 중국이 친환경 에너지에 꽂힌 이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4.20 12:50

산업부 여헌우 기자

2022033001001193100050751
중국 경제가 심상치 않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소비가 위축된 가운데 투자, 고용, 생산 등 각종 지표도 나빠지고 있다. 1분기 성장률은 4.8%로 정부 목표치(5.5%)를 한참 밑돌았다. ‘제로코로나’ 정책을 고집하며 상하이 봉쇄 등 초강수를 둔 탓에 앞으로 상황은 더욱 나빠질 전망이다.

여기저기서 경고등이 켜지고 있지만 중국 정부는 친환경 에너지 정책은 그대로 추진하려는 듯하다. 화력발전 대신 풍력·태양광에 힘을 주고 원자력발전소도 적극적으로 만들 계획이다. 최근에는 ‘신형 에너지 저장 산업’ 육성 관련 로드맵도 내놨다. 2030년까지 자국 내 탄소 배출이 정점을 찍고 줄어들도록 하겠다는 ‘액션 플랜’을 지켜나가는 모습이다.

언뜻 이해가 가지 않는다. 유동성 공급을 위해 지준율까지 내리고 있는 마당에 천문학적인 비용이 투입되는 ‘친환경 전환’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불과 몇 해 전까지만 해도 ‘세계의 공장’을 자처하며 연기를 뿜어내던 중국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의 배경으로 ‘에너지 안보’를 꼽는다. 중국은 전세계 최대 에너지 소비국인 동시에 석유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나라다. 아무리 국력을 쌓는다 해도 에너지 자립 없이는 글로벌 패권을 가져올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과 무역갈등을 직접 겪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를 지켜본 중국이다. 전세계 리튬 광산을 사들이며 이차전지 생태계를 주도하고 바다 위·아래에까지 원전을 지으려고 하는 의도가 여기에 있다.

우리나라 역시 중국과 체질이 많이 다르지 않다는 평가다. 유가가 상승하면 경제가 휘청인다.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육성에 관심이 많고 일부 대도시에 전력 수요가 집중된다.

다만 에너지 관련 정책 추진에 있어서 ‘정치 셈법’이 다른 논리들을 압도하는 모양새다. 거대 양당이 원전을 두고 벌이는 설전에 전문성은 없고 프로파간다만 넘친다. 산업계에 내미는 ‘친환경 고지서’의 성격도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좌우된다.

‘탄소중립’이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는 점은 반박하기 힘들다. 원전 폐기물 처리 방법을 둘러싼 의견 충돌 등은 상당히 건강한 논쟁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국가의 에너지 정책을 추진하며 무조건 친환경 프레임과 정치 논리만 들이댈 수는 없다. 한국은 기름 한 방울 안 나는 나라다. 탄소중립은 단순한 단어가 아니라 하나의 ‘방정식’이다. 우리는 ‘친환경 에너지’와 ‘에너지 안보’ 사이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