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구 신인천복합화력발전소. 연합뉴스 |
원전 | 석탄 | LNG | 신재생 | 무탄소 | 기타 | 합계 | ||
9차 | 발전량 | 146.4 | 175.1 | 136.6 | 121.7 | - | 6.0 | 585.8 |
비중 | 25.0% | 29.9% | 23.3% | 20.8% | - | 1.0% | 100% | |
NDC 상향안 |
발전량 | 146.4 | 133.2 | 119.5 | 185.2 | 22.1 | 6.0 | 612.4 |
비중 | 23.9% | 21.8% | 19.5% | 30.2% | 3.6% | 1.0% | 100% | |
10차 | 발전량 | 201.7 | 130.3 | 128.2 | 132.3 | 13.9 | 8.6 | 615.0 |
비중 | 32.8% | 21.2% | 20.9% | 21.5% | 2.3% | 1.3% | 100% |
지난 정부부터 탈(脫)석탄 기조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글로벌 에너지 위기로 기존 석탄화력발전과 등 기존 발전원의 역할론이 대두되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특히 정부의 연말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을 앞두고 최대전력 수요량 예측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발전 당사자들이 발전 설비 확충을 제안해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말 2036년까지의 발전설비 계획을 담은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원전 비중은 지난 9차 계획보다 대폭 늘어난 반면 재생에너지 비중은 크게 줄었다. 석탄발전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비중은 소폭 낮아졌다. 특히 석탄발전 비중은 지난 9차 계획 당시 2030년 29.9%로 산정됐지만 이번 10차 계획에서는 21.2%로 더 낮아졌다.
발전업계에서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도 중요하지만 당장 글로벌 에너지안보 위기 상황 속 안정적 전력수급과 발전사 생태계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남부·중부발전 등 발전공기업들은 최근 공시한 투자설명서에서 "여전히 주요 선진국의 발전예비능력에 비해 미흡한 수준, 안정적 전기공급 위해 발전설비 지속적으로 확충돼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공기업은 노후 석탄화력발전의 LNG복합화력발전소 전환의 불확실성도 지적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0년 수립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34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57곳 가운데 30곳을 폐쇄하고, 이 가운데 24곳을 LNG 발전소로 전환하기로 했다. 보령화력 5,6호기의 연료전환을 위한 LNG복합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인 중부발전은 투자설명서에 "2023년 건설공사를 착공하여 2025년말 준공 예정이지만, 이상 기후 및 경제상황의 변화 등 다양한 거시적 변수가 영향을 끼칠 가능성 배제할 수 없다"며 "유연탄 가격 및 LNG 가격은 2022년 반기 기준으로 2021년 동기 대비 크게 상승, 향후에도 급변하는 국제정세 및 대내외 요인에 따라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 가능성배제할 수 없다"고 명시했다.
실제 발전공기업들은 지난 정부에서 노후석탄화력발전소 10기를 조기폐쇄 했지만 LNG발전으로의 전환은 아직까지 전무한 상황이다. 현재 한국남동발전의 삼천포 3·4호기 정도가 LNG 발전소 전환을 위한 올해 3월 부지선정과 예비타당성 조사까지 마무리한 상태다. 다른 발전공기업들은 아직 부지선정 등 절차에 돌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이같은 LNG 발전소 전환 계획은 최근 윤석열 정부의 에너지정책 변화와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붕괴 상황을 맞아 순조롭게 추진될 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석탄화력발전소 폐지에 따른 노동자 대량해고도 문제다. 산업부가 연구용역으로 진행한 ‘정의로운 에너지전환을 위한 폐지 석탄발전소 활용방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석탄화력발전소 정규직 2625명 중 1221명(46.5%), 비정규직 5310명 중 3690명(69.4%)이 일자리를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대체 LNG발전소 신규건설도 기존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먼 거리에 짓거나 아직 대체부지조차 확정되지 않아 안정적 고용전환 계획이 불투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석탄을 운송하는 해운업의 고용감소와 석탄 하역에 투입되는 노동량의 감소 등 전후방 고용까지 따지면 고용위기의 규모는 훨씬 커질 수밖에 없는 셈이다.
조홍종 교수는 "지금은 있는 석탄발전소를 다 돌려도 전력가격 급등을 막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탈석탄은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가능케하는 백업전원 확보가 전제되어야 한다. 탄소중립과 NDC를 이유로 무작정 강행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