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22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오세영

claudia@ekn.kr

오세영기자 기사모음




日 오염수 이어 中 삼중수소도 논란…"한중일 3국 안전협력체제 구축 필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07 15:00
clip20230607104449

▲중국의 가동 중인 원전(빨간색)과 건설 중 원전(파란색), 건설 예정 원전(노란색). 세계원자력협회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기가 다가오는 가운데 중국에서 방출한 삼중수소 배출 총량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나면서 ‘한중일 3국 안전협력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제언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온다.

중국이 지난 2020년 한 해 방출한 삼중수소 배출 총량은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를 희석해 해양 방류할 때 연간 기준치의 50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중국이 2021년 발간된 중국핵능연감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내 전체 원전에서 2020년 배출한 삼중수소 총량은 1054테라베크렐(T㏃)를 기록했다.

이는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과정에서 배출량 제한 기준으로 계획 중인 연간 22T㏃의 약 50배에 달한다. 또 214T㏃을 배출한 우리나라의 2022년 원전 배출 총량과 비교하면 5배가량 높다.

일본은 2019년 한해 원전에서 175T㏃을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 이전인 2010년에는 370T㏃을 배출했지만 지금은 가동원전 수가 줄며 절반 이하로 줄었다.

반면 중국은 자국 동부 해안에 원전을 꾸준히 늘리는 가운데 삼중수소 배출량이 2010년 215T㏃에서 2018년 832T㏃, 2019년 907T㏃로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2019년 기준 삼중수소 배출량이 1714T㏃, 중수로 원전만 가동하는 캐나다는 2020년 기준 삼중수소 배출량이 1831T㏃로 나타났다.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원전 55기를 가동 중으로 미국(93기), 프랑스(56기)에 이어 세계 3위다.

중국은 23기를 새로 건설 중인데다가 여기에 더해 남중국해에 해상 원전을 건립하겠다는 계획도 있었다. 다만 규제 당국이 최종 승인을 보류한 것으로 최근 확인됐다.

중국 원전 대부분은 동부 연안에 몰려 있어 우리나라가 영향권에 든다. 현재 건설 중인 신규 원전도 한국과 가장 가까운 랴오닝성, 산둥성에 지어지고 있다.

최근 30년간 한반도 해안에서 크게 삼중수소 농도가 달라지는 점이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앞으로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를 방류하고 중국에 원전이 더 들어설 경우를 대비해야 한다.

중국과 한반도가 위치한 위도가 편서풍대인 만큼 만약 중국에서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서쪽에 자리 잡은 한국이 방사능 영향을 받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는 "한중일 세 나라가 삼중수소 뿐 아니라 앞으로 지어질 원전과 그에 따르는 안전 문제 등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한중일이 서로 원자력 안전에 대해 정보를 교환하고 경험도 교류하고 공동의 안전 규제 등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2021년 중국 타이산 원전에서 방사능이 유출됐다는 논란이 이어질 당시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에 올 가능성을 놓고 원안위 등 관계기관이 긴장 속에 모니터링을 이어 나가기도 했다.

원안위에 따르면 우리 정부는 중국과 일본 등 인접국에 대규모 방사성 물질 누출이 일어날 때를 대비해 대응매뉴얼을 제정해 운영하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원안위가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운영하고 경보를 발령하는 등 12개 부처가 합동으로 대응에 나선다는 것이다.

또 원안위는 국내외 방사능 이상 상황을 대비해 전국 231개소에 환경방사선감시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인근 해역 40개 지점에서 해수방사능 농도도 감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중국의 동해안 원전 증설에 대해 정부 차원의 별다른 입장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claudia@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