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27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안효건

hg3to8@ekn.kr

안효건기자 기사모음




암 수술도 ‘스탑’ 보건의료노조...정부 "민노총 정치 파업, 생명·건강 외면"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7.13 08:38
구호 외치는 보건의료노조 조합원들

▲지난 12일 서울 강서구 이대서울병원에서 열린 보건의료노조 총파업 전야제를 지켜 보는 환자.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인력·공공의료 확충 등을 주장하며 총파업에 돌입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보건의료노조 산하 127개 지부 145개 사업장(의료기관)은 13일 오전 7시를 기해 파업에 돌입한다.

보건의료노조는 간호사를 중심으로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약사, 치료사, 요양보호사 등 의료부문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가입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 산하 산별노조다.

의사는 일부만 가입해 있지만 의료계 다양한 직역들이 속해 있다.

파업 사업장은 사립대병원지부 29개, 국립대병원지부 12개, 특수목적공공병원지부 12개, 대한적십자사지부 26개, 지방의료원지부 26개 등이다.

이른바 ‘서울 빅5’ 병원 중에서는 파업 참여 의료기관은 없다.

그러나 서울의 경희대병원, 고려대안암병원, 고려대구로병원, 이대목동병원, 한양대병원, 경기의 아주대병원, 한림대성심병원 등 전국 20곳 안팎의 상급종합병원이 파업에 참여했다.

보건의료노조 총파업은 지난 2004년 의료민영화 저지·주5일제 관철을 주장하며 파업한 이후 처음이다. 노조 측은 이번 파업에 4만 5000명이 참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19년 전 파업 참여 인원인 1만여명 4배 이상이다.

노조는 코로나19 유행이 한창이던 지난 2021년 9월에도 총파업을 예고한 바 있다. 다만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돼 파업 직전 철회했었다.

노조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파업"이라며 "인력부족으로 인한 환자 피해와 필수의료·공공의료 붕괴 위기에 내몰린 의료현장의 실상을 알리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파업 기한을 ‘무기한’이라고 설명했지만, 이날부터 이틀간 ‘투쟁’에 집중할 방침이다. 노조는 이날 낮 서울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전국에서 모인 조합원들과 함께 ‘2023 보건의료노조 산별총파업대회’를 개최한다. 14일에는 서울, 부산, 광주, 세종 등 4곳의 거점 지역에서 집회를 연다.

노조는 재작년 ‘9.2 노정합의’를 통해 추진하기로 한 의료인 처우 개선 등이 이행되지 않고 있고 이에 따라 공공의료가 위기에 처해 거리로 나올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한다.

특히 정부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전담병원’으로 활약한 지방의료원에 대해 지급하는 회복기 손실보상금과 관련, 지급 기간이 지나치게 짧다고도 지적한다.

노조는 지난 5월부터 사측과 교섭을 진행했지만 타결을 이루지 못했다.

노조가 요구한 사항은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확대를 통한 간병비 해결 △ 보건의료인력 확충 △ 직종별 적정인력 기준 마련과 업무 범위 명확화 △ 의사 확충과 불법 의료 근절 △ 공공의료 확충과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감염병 전담병원 회복기 지원 확대 등이다.

노조는 "사용자 측이 제도 개선과 비용 지원 등 정부 핑계를 대며 불성실교섭을 했고, 정부는 의료현장의 인력대란과 필수의료·공공의료 붕괴 위기를 수수방관하며 각종 제도개선 정책 추진 일정을 미루면서 교섭 타결에 어떠한 지원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정부는 이번 총파업을 ‘정치파업’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지난 10일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외면한 채 민주노총의 정치파업에 동참해서는 안된다"고 밝힌 바 있다.

노조 측은 총파업 기간 응급실, 수술실, 중환자실, 분만실, 신생아실 등 환자생명과 직결된 업무에 필수인력을 투입하고 있다. 또 의료기관 내 응급상황에 대비 응급대기반(CPR팀)을 구성·가동 중이다.

하지만 파업 참가자 규모가 큰 데다 다양한 직역들이 참여한 만큼 의료 현장 곳곳에서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립암센터와 부산대병원, 양산부산대병원의 경우 13~14일 예정된 수술 일정을 모두 미뤘다.

국립암센터는 10일부터 신규 환자를 받지 않고 있으며 파업 중 병상 상황을 고려해 11일부터는 수술 환자수를 줄였다. 부산대병원과 양산부산대병원은 입원환자를 퇴원시키거나 다른병원으로 옮기는 조치를 했다.

국립중앙의료원은 홈페이지에 파업 예정 사실을 알리고 빠른 예약 업무가 지연될 수 있다고 공지하면서 "정상진료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hg3to8@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