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국민들의 자가 주택 보유율은 6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평균 주거 면적은 36.0㎡ 가량이었다. 가구주가 된 이후 생애최초 주택을 마련하기까지 소요된 연수는 7.7년 정도로 집계됐다. '내 집을 꼭 보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 비중은 87.3%로 전년(89.6%) 대비 소폭 줄었다.
국토교통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3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주거실태조사는 국민 주거생활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고 주택정책 수립 등에 참고하기 위해 매년 실시된다. 이번에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6만1000가구를 대상으로 1:1 개별 면접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에 따르면 전국에서 자가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 비율은 60.7%였다. 2022년(61.3%)에 비해 0.6% 포인트(p) 내려간 수치다. 지역별로는 도지역(68.6%)이 광역시(62.3%), 수도권(55.1%)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전년과 비교한 수치는 모든 지역이 감소했다.
전국 자가에서 거주하고 있는 가구 비율은 57.4%였다. 2022년(57.5%) 대비 0.1%p 감소했다. 광역시(58.9%)가 0.2%p 상승했고 수도권은 동일(51.9%)했다. 도지역(65.4%)은 전년 대비 0.2%p 하락했다.
점유형태는 보면 자가 57.4%, 임차 38.8%, 무상 3.7%로 파악됐다. 2022년 대비 자가는 0.1%p 감소, 임차와 무상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지역별 임차가구 비율을 보면 수도권이 45.2%로 가장 높았다. 광역시 등 37.8%, 도지역이 29.3%였다.
지난해 기준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자가가구 PIR)은 전국 6.3배로 조사됐다. 지난번과 동일한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8.5배, 광역시 등이 6.3배, 도지역이 3.7배 순으로 높았다.
전국 임차가구의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임차가구 RIR)은 15.8%였다. 2022년(16.0%) 대비 0.2%p 내려갔다. 수도권이 20.3%로 가장 높았다. 광역시 15.3%, 도지역 13.0% 순이었따.
전체가구 중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가구는 40.6%로 2022년(37.6%) 대비 3.0%p 증가했다.
지원방식에 대한 답변은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35.6%)', '전세자금 대출지원(24.6%)', '월세보조금 지원(11.0%)', '장기공공임대주택 공급(10.7%)' 순으로 많이 나왔다. 점유형태별로 보면 자가가구는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57.3%)', 전세가구는 '전세자금 대출지원(37.9%)'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1인당 주거면적은 36.0m²로 전년(34.8m²) 대비 1.2m² 늘었다. 지난해 최저주거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가구 비율은 3.6%로 0.3%p 감소했다. 최저주거기준에는 가구구성별 최소 주거면적 및 용도별 방의 개수, 필수적인 설비 등이 들어간다. 평균 가구원수 감소, 주택의 주거면적 증가와 물리적인 시설 개선으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응답자들이 현재 주택에서 거주한 평균 기간은 8.0년이었다. 지역별로는 도지역이 10.1년으로 가장 길었다. 광역시는 7.9년, 수도권은 6.6년이었다. 점유형태별로는 자가로 거주하는 가구가 11.1년, 임차가구가 3.4년을 평균적으로 거주했다.
'2023년 주거실태조사' 연구보고서는 국토교통 통계누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