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5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서해안 해저 전력고속도로’ 2036년까지 건설…민간 참여 확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2.04 10:48

‘송전시장 미개방’ 원칙하 용지확보·인허가까지 민간 참여 가능



2026년까지 동해안-수도권 전력고속도로 건설…국내 최장 육상 HVDC

2023120401000157600007071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1일 서울 마포구 한국중부발전 서울발전본부를 방문해 겨울철 안정적 전력수급 운영·관리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정부가 오는 2036년까지 호남에서 생산한 원자력, 재생에너지 전력을 직접 수도권에 공급하는 ‘서해안 해저 전력고속도로’를 건설한다.

해저에 초고압직류송전(HVDC)을 깔아 반도체 공장이 밀집한 수도권 첨단전략산업단지에 원전·재생에너지 전력을 공급하겠다는 목적이다.

지금까지 호남에서 남아도는 원전·재생에너지 전력을 수도권으로 실어나를 송전선로가 부족해 발전설비에 대한 가동중단(출력정지)과 감발 등이 빈번했다고 알려졌다.

정부는 건설 속도를 높이기 위해 민간사업자가 HVDC 건설에 참여하는 방안을 확대하고 송전선로 건설 기간을 평균 13년(345kV 기준)에서 9.3년으로 30% 단축하겠다는 목표도 알렸다.

다만 국가 기간 전력망의 공공재적 성격을 감안해 기존 한국전력이 독점하던 송전시장을 민간에 개방하지 않는다는 원칙은 유지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방문규 장관 주재로 제30차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전력계통 혁신대책’과 ‘재생에너지 정책 현황 및 방향’을 놓고 관계부처 및 에너지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했다.

전력계통 혁신대책은 동서를 가로지르는 가로축 전력고속도로인 ‘동해안-수도권 HVDC’, 남북을 잇는 세로축 해저 전력고속도로인 ‘서해안 HVDC’의 적기 건설을 핵심으로 한다.

정부는 우선 호남의 원전·재생에너지 발전력을 해저를 통해 수도권에 공급하는 서해안 HVDC 건설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오는 2036년 기준 한빛 1∼6호기를 통해 원전의 설비용량이 5.9기가와트(GW),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64G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데 따라 서해안 HVDC의 준공 목표도 2036년으로 잡았다.

서해안 HVDC는 신해남∼태안∼서인천을 거치는 구간이 430㎞, 새만금∼태안∼영흥 구간이 190㎞에 이른다. 총비용은 7조9000억원, 수송 능력은 8기가와트(GW)에 이를 것으로 정부는 전망하고 있다.

정부가 해저 선로 건설을 택한 것은 육상 전력망 추가 건설이 높은 설비 밀집도와 주민 반대 등으로 한계에 부딪혔다고 보기 때문이다.

서해안 해저 HVDC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해상케이블 수요가 확대되는 가운데 해상그리드 신산업을 육성할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HVDC 건설 속도를 높이기 위해 송전 시장을 민간에 개방하지 않는다는 원칙하에 민간의 건설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는 설계·시공 부문에만 민간이 참여했지만, 설계·시공과 함께 용지확보와 인허가까지 포괄하는 ‘턴키’ 계약 방식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만 HVDC 건설 후에는 한전에 설비를 귀속시키고 운영도 한전이 수행한다.

아울러 정부는 오는 2026년 6월까지 동해안 발전력을 수도권에 공급하는 동해안-수도권 HVDC 건설을 추진한다.

동해안 지역에는 원전과 화력발전소 등 대규모 발전 설비가 밀집해 있지만 송전선로가 부족해 발전에 제약이 있었다.

특히 신한울 3·4호기(2.8GW) 신규 원전 생산 전력을 수도권에 공급하려면 송전선로 건설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동부 140㎞·서부 90㎞(1단계)와 양평·하남 50㎞(2단계)에 이르는 국내 최장 육상 HVDC를 건설할 계획이다.

방문규 장관은 에너지위원회 모두 발언에서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와 서해안 송전선로 등 국가 핵심 전력망을 적기에 건설하기 위해 인허가, 보상 등 특례를 강화하는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겠다"며 "다양한 무탄소 전원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ESS 등 유연성을 제공하는 발전원에 대해 인센티브를 부여하겠다"고 밝혔다.


wonhee454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