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도 희망퇴직 접수를 시작한 가운데 주요 은행들의 퇴직금 규모가 모두 전년 대비 줄었다. ‘은행의 종노릇’ 비판 후 은행에 대한 전방위적 비판이 거세다는 분위기를 의식해 은행의 퇴직금 규모가 축소된 것으로 보인다.
1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오는 3일, 9일까지 희망퇴직 접수를 받는다고 지난달 29일 공지했다.
눈에 띄는 것은 특별퇴직금이 줄었다는 점이다. 국민은행의 경우 지난해는 23∼35개월치의 월 평균 임금을 지급했는데 올해는 18~31개월치를 주기로 했다. 4∼5개월치의 급여가 줄었다.
우리은행은 24∼31개월치 임금의 특별퇴직금을 지급한다. 지난해 월 평균 임금 24~36개월치를 지급했던 것과 비교해 최대 5개월치의 퇴직금이 감소했다.
앞서 희망퇴직 접수를 받거나 받고 있는 NH농협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도 모두 전년 대비 희망퇴직금 규모를 줄였다.
지난해 11월 희망퇴직을 실시한 농협은행은 1967년생(56세) 직원에 28개월치, 1968∼1983년생(40∼55세) 직원에 20개월치 월 평균 임금을 퇴직금으로 지급했다. 전년에 56세 직원에는 똑같은 퇴직금을 지급했으나, 40~55세 직원에 20~39개월치를 임금을 지급했던 것과 비교해 규모가 줄었다.
지난달 희망퇴직 접수를 받은 신한은행은 월 평균 임금 7∼31개월치를 지급하기로 했다. 앞서 8월(9~36개월치)과 비교해 2∼5개월치가 감소했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28일부터 오는 2일까지 준정년 특별퇴직 신청을 받고 있는데, 퇴직금으로 24~31개월치의 임금을 지급한다. 지난해 초 실시한 특별퇴직에서는 최대 36개월치의 평균 임금을 지급한 것에 비해 규모가 축소됐다.
은행권은 고금리에 폭리를 취한다는 비판이 거센 데다 상생금융 압박이 더해지며 눈총을 받고 있는 만큼 이같은 분위기를 고려해 퇴직금 규모를 줄인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차주들이 늘어난 반면 은행들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자 정치권에서는 횡재세를 도입해야 한다는 논의가 커지기도 했다. 이에 대안으로 은행들은 2조원+α의 상생금융안을 발표한 상태다.
희망퇴직금이 줄어들며 조건이 악화되자 희망퇴직자 수는 전년 대비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다. 지난해 5대 은행의 희망퇴직자 수는 2357명이다.
일각에서는 지금보다 희망퇴직 조건이 더 나아질 것이라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희망퇴직자 수가 점차적으로 늘어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