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0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김다니엘

daniel1115@ekn.kr

김다니엘기자 기사모음




꽁꽁 언 분양시장, ‘로또’에만 몰린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1.28 11:12

분상제 적용단지 ‘흥행’ 보증수표...‘로또’ 분양에는 20만명 몰려



위치 및 가격 경쟁력 부족한 단지서는 계약 미달 잇따라



전문가 “시장 내 불안요소 여전...옥석 가리기 현상 당분간 지속될 것”

2024011601000901800045221

▲분양시장 내 양극화가 날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사진은 최근 ‘로또’ 청약을 진행한 고양시 덕양구 ‘DMC한강자이더헤리티지’ 투시도. GS건설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부동산 시장이 불황에 접어들면서 분양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시세 대비 가격이 확실하게 저렴한 분양가상한제(분상제) 적용 단지 및 일명 ‘로또’ 분양에만 신청자들이 몰린다. 반면 위치 및 가격적 이점이 없는 단지들에서는 미달이 이어지고 있다.

28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23일 진행된 인천 서구 불로동 검단신도시 AB20-1블록 ‘제일풍경채검단3차’ 일반공급 1순위 접수에는 240가구 모집에 1만675명이 신청하며 평균 44.5대 1의 경쟁률이 기록됐다. 이같은 높은 청약 열기는 분상제 적용으로 주변 아파트 단지 시세 대비 확실하게 저렴한 가격때문이다. 이 단지의 84㎡의 분양가는 최고가 기준 5억2200만원인데 인근 신규 아파트 단지의 시세보다도 1억8000만원이나 저렴하다. 실제 아파트 실거래가 빅데이터 아실에 따르면 이 단지 인근에 2021년 8월 입주를 시작한 서구 원당동 ‘검단신도시푸르지오더베뉴’ 전용면적 84㎡는 지난 13일 7억원에 거래됐다.

일명 로또 분양이라고 불리는 무순위 청약 및 계약 취소 주택에도 청약이 몰리는 추세다. 지난 15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DMC한강자이더헤리티지’는 무순위 청약 2가구와 계약 취소 주택 1가구 등 총 3가구를 모집하는 청약을 진행했다.

청약 결과 무순위 청약 전용면적 84㎡ 1가구에는 무려 16만3731명이 몰렸으며 99㎡ 1가구에도 4만8470명이 신청했다. 계약 취소 주택 중 신혼부부 특별공급 전용면적 84㎡ 1가구에는 1400명이 접수했다. 이 단지의 인기도 저렴한 분양가 덕이었다. 2020년 일반분양 당시 가격으로 책정됐다. DMC한강자이더헤리티지 전용면적 84㎡ 분양가는 6억6930만원, 99㎡ 분양가는 7억6400만원이다. 이 단지의 전용면적 84㎡가 지난달 21일 10억2000만원에 거래됐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당첨 시 약 3억원 이상의 시세차익이 기대되자 청약 경쟁률이 급상승했다.

반면 부동산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분양시장 전반적으로는 계약 미달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23일 1순위 청약에 나선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 ‘e편한세상신곡시그니처뷰’는 324가구에 214명이 신청해 8개 주택형 가운데 5개가 미달됐다. 이달에만 1:1 경쟁률을 채우지 못하고 미달이 난 단지만 전국 11곳에 달한다.

계약을 포기하는 사례 또한 속출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분양 당시 1순위 청약에서 24가구 모집에 2393명이 지원하며 99.7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던 동대문구 답십리동 ‘e편한세상답십리아르테포레’는 당첨자들이 계약을 포기하면서 지난 23일 미계약 물량 15가구에 대한 2차 무순위 청약을 진행했다.

이처럼 분야시장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데에는 과거 과도한 집값상승 및 고금리 지속으로 인해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진 것이 주효했다는 해석이다. 집값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피로감이 누적된 상태에서 금리인상에 대한 불안감이 아직 남아 있다. 또 현재 상황에서 금리가 인하된다고 해서 집값이 오른다는 확신도 없는 상태다. 따라서 분양가가 낮거나 호재가 있어 당장 확실한 수익이 보장되는 분양에만 소비자들의 수요가 쏠리고 있다는 것이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현재 분양시장 양극화가 심화되는 것은 이러한 불안요소들이 가중됨에 따라 수요자들이 이성적인 판단을 하는 데 따른 것"이라며 "상황이 이렇다 보니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분양가상한제 단지나 개발호재가 있는 곳으로 수요자들이 몰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추가상승에 대한 기대감 살아나거나 집값 인플레이션 및 금리 문제가 해결될 때 까지는 지금과 같은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daniel1115@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