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예전 용산 철도 정비창 부지에 100층 높이의 초고층 랜드마크 빌딩과 대형 공원이 포함된 '용산국제업무지구'를 조성하기로 했다.
시는 5일 오전 이같은 내용의 개발계획안을 발표했다. 최대 용적률 1700%, 높이 100층 내외의 랜드마크가 들어서고 50만㎡(약 15만평) 규모의 녹지를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올해 상반기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해 2025년 하반기 기반 시설을 착공, 빠르면 2030년 초부터 입주를 시작한다.
2001년 7월 처음 등장했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계획은 용산 정비창 부지를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해 국제업무지구로 개발하겠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 및 자금 부족 영향으로 2013년 최종적으로 사업이 무산된 바 있다
◇ “업무·주거·여가 한 번에 해결" 콤팩트 시티
업무·주거·여가문화 등을 도보권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콤팩트 시티(Compact City)로 거듭나는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용도에 따라 국제업무·업무복합·업무지원 등 3개 존으로 나뉜다.
'국제업무존'(8만8557㎡)에는 최대 용적률 1700%, 100층 안팎의 랜드마크가 들어선다. 금융과 ICT 기업을 위한 프라임급 오피스(Prime Office)와 마이스(MICE), 호텔, 광역환승센터가 조성된다. 저층부에는 콘서트홀과 도서관 등이, 최상층에는 도시 전망시설도 생긴다.
용적률 900% 내외의 건물도 들어선다.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업무복합존(10만4905㎡)에는 용산전자상가, 현대R&D센터와 연계한 인공지능·빅데이터 업무 시설이 입주한다. 업무지원존(9만5239㎡)에는 주거, 교육, 문화 지원시설이 만들어진다. 업무복합존 45층에는 서울 시내를 볼 수 있는 1.1㎞ 길이의 보행전망교(스카이트레일)가 도입된다.
◇ 총 사업비 51조원 메가 프로젝트...연간 32조원 생산효과 기대
이번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은 총 51조원의 사업비가 들어가는 대형 프로젝트다. 1단계 기반시설 조성에는 코레일과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16조원을 투입한다. 사업 부지인 용산 정비창 토지비는 현재 약 8조~10조원 수준으로 예상되는데 기반시설 공사비(4조~5조원) 중 3조원은 SH공사가, 나머지는 코레일이 부담한다. 사업비용은 2단계 토지를 분양받은 민간사업자의 사업비까지 모두 포함한다면 총 5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완료되면 14만6000명의 고용 창출, 연간 32조6000억원의 생산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오세훈 시장은 “입지·잠재력 등 모든 면에서 가능성이 무한한 땅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개발 기회를 얻지 못했던 용산이 이번 계획 확정으로 혁신 개발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게 됐다"며 “용산국제업무지구가 구도심 대규모 융복합 및 고밀개발의 글로벌 스탠다드가 되도록 모든 행정 역량과 자원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도 서울은 물론 대한민국의 미래를 상징하는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봤다. 다만 장기간 진행되는 만큼 지속적·안정적 사업 추진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이희정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계획은 그동안 여러 차례 검토됐던 내용을 실행에 옮기는 것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틀이 잘 짜여졌고 2040 도시계획에서 제시하는 여러 가지 계획 및 방향이 잘 반영돼 있다"면서 “미래지향적 컨셉트를 실행하는 테스트베드 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제적으로도 큰 관심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이번 사업은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메가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거버넌스의 지속 가능성이 숙제가 될 것"이라며 “계획보다는 실행 과정이 중요하며 안정적으로 잘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