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3일(수)
에너지경제 포토

박효순

anytoc@ekn.kr

박효순기자 기사모음




[헬스&에너지+] 초고령사회 앞두고 뇌졸중 치료체계 붕괴 ‘빨간불’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2.18 15:59

대한뇌졸중학회 “인력 충원, 보상체계·시스템 개선 시급" 제언

배희준 뇌졸중학회 이사장

▲배희준 이사장이 기자간담회에서 초고령사회 뇌졸중 치료 체계 확립을 위한 방안을 밝히고 있다. 사진=대한뇌졸중학회

대한뇌졸중학회가 국내의 뇌졸중 치료시스템 구축을 위한 준비 부족을 지적하고, 인력 확보·질병군 분류체계 수정 등을 제언했다.


대한뇌졸중학회 배희준 이사장(서울대 의대 신경과 교수)는 지난 14일 열린 '초고령 사회 뇌졸중 치료시스템 구축을 위한 현황 분석 및 발전 방안 모색' 기자간담회에서 “뇌졸중 치료시스템 구축을 위한 준비가 여전히 부족하다"며 국가 차원의 지원대책을 강조했다.


뇌졸중학회에 따르면, 국내에는 여전히 뇌졸중 취약지가 존재하며, 전체 뇌졸중 환자의 50%는 해당하는 진료권에서 정맥내혈전용해술, 동맥내혈전제거술 등과 같은 뇌졸중 최종 치료를 시행할 수 없는 상황이다.


또한, 현재 전국 상급종합병원(3차 의료기관)과 수련병원 뇌졸중 전문의는 209명에 불과하고 일부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에서는 전문의 1명이 400∼500명의 뇌졸중 환자를 진료하고 있는 실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경과 의사가 뇌졸중 의심 환자를 진료할 경우 진찰료가 없고, 24시간 뇌졸중 집중 치료실 전담의 근무 수당은 2만 7730원에 불과하다.




배 이사장은 “초고령사회에서 뇌졸중 치료 체계가 무너지지 않으려면 인적 자원 확보, 보상 체계 마련, 질병군 체계 분류 수정 등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치료 사각지대 없이 뇌졸중 발생 예방부터 급성기 치료, 장기적 관리까지 체계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조속히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배 이사장은 촉구했다.


김태정 뇌졸중학회 홍보이사(서울대 의대 신경과 교수)도 “2050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약 2000만명으로 전체 인구 50%를 차지할 것이며, 매년 35만명의 새로운 뇌졸중 환자 발생, 이에 따른 연간 진료비용 급증이 예측된다"며 “턱없이 부족한 뇌졸중 전문의 인력 문제로 현재 뇌졸중 치료체계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뇌졸중학회는 무엇보다도 인력 자원 확보, 보상체계 마련, 뇌졸중 질병군 분류 체계 수정이 선결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차재관 질향상위원장(동아대 의대 신경과 교수)은 “현재의 전문의 인원 수준으로 초고령사회에 들어서면, 치료 시스템이 붕괴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고 강조했다.


뇌졸중 전문의를 확보하고 정부에서 추진하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중 전문의 중심의 진료시스템을 구축하려면 향후 전문의가 될 수 있는 필수의료와 관련된 신경과 전공의 증원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설명이었다.


또한, 높은 업무 강도를 고려했을 때 최소한의 보상 체계 마련 및 정책 수가 신설이 필요하다고 차 위원장은 덧붙여 말했다.


이경복 정책이사(순천향대 의대 신경과 교수)는 “뇌졸중은 발생 환자의 80%가 후유장애를 얻을 만큼 중증질환이며 골든타임 내 치료가 중요하다. 하지만 수술이나 시술을 받는 일부의 환자만 전문진료질병군으로 분류되고 있어 문제"라고 지적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