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가 실적 악화로 고전하고 있는 가운데 노동조합이 성과 상여금이 적다며 반발하고 있다. 여기에 실제 파업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존재해 경영진의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매출 258조1600억원, 영업이익 6조5400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 매출 302조2300억원, 영업이익 43조3800억원에 비하면 각각 14.58%, 84.92% 감소한 수치다.
이 같은 성적표를 받아든 것은 오랜 기간 이어져온 반도체 사업이 부진한 탓이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 솔루션(DS) 부문은 15조원 규모의 적자를 기록했다. 메모리 시장이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DS 부문의 적자 규모가 작아지고는 있으나 여전히 흑자 탈출 시기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3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삼성전자 DS 부문의 총 재고 자산은 33조7306억원 수준으로, 전년 말보다 16.08%가 늘었다. 이는 전사 재고량 중 61.04%를 차지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수익성 중심 사업 운영을 기조로 DDR5·고대역폭메모리(HBM)·LPDDR5x·UFS4.0 등 선단 인터페이스 제품의 판매를 확대했고, 상대적으로 재고량이 많은 제품은 생산량을 조정해 줄여나가는 데에 집중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 실적 개선은 기약이 없다. 응용처별 재고 안정화 추세에도 SET 시장 수요 회복이 지연돼 예상 대비 더딘 회복세가 예상돼서다.
이 같은 상황에 삼성전자는 임금 인상률을 예상 인상률인 2.5%에 맞춰 제시했지만 노조와 노사협회의는 각각 8.1%, 5.74%를 요구해 갈등을 빚고 있다. 노조는 회사가 협상에 진정성을 갖고 임하지 않는다며 쟁의대책위원회를 가동했고, 노사협의회는 수용 불가라는 입장을 내놨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관계자는 “적자 난 게 아닌데도 회사 측은 임금 인상에 적극적이지 않다"며 “우리가 원하는 수준 정도는 내놔야 쟁의 개시 국면을 맞이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사정은 더욱 심각하다. 노조가 쟁의 조정 신청 초읽기에 들어간 상태여서다.
노조는 지난 10일 사측에 제5차 임금 단체 교섭을 요청했고 지난 15일 △기본 임금 인상률 5% △유급 휴가 확대 △성과급(OPI) 기준 개편 등 25개 달하는 요구안에 대한 합의를 보지 못해 결렬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디스플레이 열린노조 측은 “교섭 과정 중에 사측이 내놓은 것이 아무 것도 없어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촉구하는 차원에서 조만간 조정 신청을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2021년에는 임단협이 결렬됨에 따라 삼성디스플레이 창사 이래 최초로 파업이 발생했다. 전례가 있는 만큼 이번에도 노조가 실력 행사에 나설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한편 글로벌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생산 능력은 수요를 상회하고 있어 공급 과잉으로 이어지고, 재고가 쌓여 실적 악화로 귀결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삼성디스플레이 역시 예외가 아니다. 전세계 디스플레이 공장 가동률은 지난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80%선을 유지하다 4분기에는 76%로 소폭 하락했다. 국내 공장들 덕에 그나마 선방했지만 TV 업황이 좋지 않아 대형 OLED 라인 가동률이 낮다는 것이 DSCC의 평가다.
DSCC는 보고서를 통해 “삼성디스플레이는 차이나스타·LG디스플레이·비전옥스 등 경쟁사들의 추격으로 출하량이 다소 줄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