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5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재계 “바꿔야 산다” 신성장동력 찾기 ‘가속페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3.18 15:33

삼성·SK·LG 등 AI·로봇 역량 강화···대형 M&A 추진도

현대차 AAM·PBV 등 집중···포스코 등 리더십 교체

재계 4대그룹 로고.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삼성, SK, LG, 현대차.

▲재계 4대그룹 로고.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삼성, SK, LG, 현대차.

재계 주요 기업들이 신성장동력을 찾기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인공지능(AI) 혁명, 기후위기 등 산업계 판도를 바꾸는 굵직한 트렌드가 부각되면서 변화에 대한 의지를 숨기지 않고 있다. 신사업에 진출하고 인수합병(M&A)을 추진하는가 하면 조직 분위기 쇄신을 위해 리더십 자체를 교체하는 곳들도 상당수다.


18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 SK, LG 등은 저마다 방식으로 AI 관련 역량을 강화하는 데 사활을 걸고 있다.


반도체 업계는 우선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 확대에 대응하는데 분주하다. 고객사에 칩을 공급하며 기존에는 사실상 없었던 시장을 열고 있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는 AI 칩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엔비디아의 HBM 최대 공급사다. 삼성전자는 HBM을 넘어 파운드리 시장에서도 수요를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한국 특파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와 AI 칩을 만들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올트먼 CEO는 지난 1월 한국을 찾아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만났다.


가전 시장에서도 AI 열풍이 불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AI 기능이 적용된 세탁기 등 신제품을 공격적으로 내놓으며 소비자들의 눈길을 잡고 있다. 세탁기와 건조기를 하나로 합친 '삼성 비스포크 AI 콤보'와 'LG 시그니처 세탁건조기' 등 신가전의 경우 국내에서는 이미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밖에 갤럭시 S24 등 모바일 기기에 AI 기능을 넣으며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고 있다.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에서는 독자 개발 운영체제 '타이젠'이 탑재된 AI 로봇 집사 '볼리'를 선보였다. LG전자 역시 같은 행사에서 비슷한 '반려가전' 콘셉트의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를 내놨다.


현대자동차그룹은 그동안 쌓은 전기차 기술력을 토대로 미래항공모빌리티(UAM), 목적기반모빌리티(PBV) 등 시장 선점을 도모하고 있다. 현대차 산하 슈퍼널의 경우 하늘을 나는 차세대기체 'S-A2'의 실물 모형을 공개하며 2028년 상용화를 예고했다. 전기로 움직이는 이 AAM은 수직으로 이착륙하며 복잡한 도심에서 승객을 빠르게 수송할 수 있다.


기아는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사업에서 미래를 찾고 있다. 휠체어를 탄 채로 차에 타거나 반려견과 차를 이용하는 고객 등 다양한 수요에 맞게 전기차를 고도화한다는 구상이다. 기아는 이미 △PV5 베이직 △PV5 딜리버리하이루프 △PV5 샤시캡 등 PV5 등 실제 판매할 차량의 콘셉트 이미지를 대중에 공개한 상태다.


본격적인 '주주총회 시즌'을 맞아 정관 자체를 바꾸는 기업들도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폐전지 판매·재활용업, 비철금속제품의 제조·판매업을 사업 목적에 추가한다. 포스코퓨처엠은 이차전지 소재 원료 제조·판매, 수출입업, 가공업 등을 더할 방침이다. 롯데케미칼은 '수소 및 수소화합물 등의 제조, 판매 및 관련 용역의 제공 등 부대사업'을 사업 목적에 덧붙인다. HD현대는 신재생에너지 개발, 중개, 매매, 공급업, 발전업, 설비 임대 등을 더할 방침이다.


리더십 자체를 바꾸며 신성장동력을 모색하는 경우도 있다. 포스코그룹은 최정우 전 회장이 임기를 모두 채우면서 장인화 신임 회장을 새 선장으로 맞는다. 오는 21일 주총 이후 장인화 회장 체제에 접어들게 된다. 철강 분야에 강점을 지닌 장 신임 회장은 기존 사업을 재정비하는 동시에 이차전지 등 새로운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새 먹거리를 찾아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신세계그룹은 정용진 부회장을 회장으로 승진시키며 '책임 경영'을 강화한다. 경영 여건이 어려운 가운데 '강한 리더십'으로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게 신세계 측 생각이다.


정 회장은 승진 이후 곧바로 새로운 인사제도를 가동하며 조직에 새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성과에 기반해 임원진을 대상으로 수시 인사를 단행하는 게 골자다. 최고경영자(CEO) 급도 수시로 교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비쳐 내부적으로 긴장감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 중장기적으로는 그동안의 계속된 실패를 반면교사삼아 새로운 먹거리를 찾는 작업에 주력할 것으로 예측된다.


롯데그룹과 CJ그룹은 불필요한 계열사를 정리하고 내실을 다지면서 더 큰 변화를 준비해나가고 있다. 몸집을 불려가고있는 한화그룹은 우주·항공 등 역량을 더욱 강화하며 존재감을 키워갈 것으로 예상된다. '형제 경영'을 준비하는 효성그룹 역시 분할 이후 사업 재편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게임업계도 주주총회 시즌을 통해 수장 교체에 대거 나선다. 넥슨을 비롯해 넷마블, 엔씨소프트, 카카오게임즈, 위메이드, 컴투스등이 이달 열리는 주총에서 대표이사 교체를 의결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