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5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글로벌 경쟁력 확보 위해 국내 스마트팜 산업 생태계 강화해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3.25 11:00

무협 ‘우리나라 스마트팜 산업 활성화 전략’ 보고서

스마트팜 업체 규모 및 스마트팜 산업 활성화가 어려운 원인.

▲스마트팜 업체 규모 및 스마트팜 산업 활성화가 어려운 원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5일 '우리나라 스마트팜 산업 활성화 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스마트팜 산업이 발전 초기 단계이지만 향후 전 세계적으로 급속한 성장이 기대되는 유망산업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의 스마트팜 산업 활성화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산업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팜 산업은 기후 등 식물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통제해 작물을 재배하는 게 골자다. 기후 변화에 따른 식량안보, 영농 효율성 제고에 따른 농촌 소득 증대 등 여러 방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는 농촌 인구의 고령화‧감소, 경지 면적 감소 등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식량안보 지표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스마트팜은 영농 효율성을 제고해 우리나라가 당면한 농촌 인구의 고령화 등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농업 구조는 소규모 영세 농가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스마트팜 산업의 경우에도 소규모 신생 기업을 위주로 이루어져 있어 스마트팜 산업생태계 구축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가 스마트팜 기업 9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업장 규모가 50인 미만인 기업이 94.4%를 차지했다. 2015년에서 2020년 사이에 창업한 신생 업체의 비율도 77.8%에 달했다.


응답 기업은 스마트팜 산업 활성화가 어려운 원인으로 △높은 초기비용(42.9%)과 △대규모 자본 유입의 어려움(22.9%)을 지목했다. 스마트팜 산업 활성화를 위한 대규모 자본 유치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보고서는 스마트팜 생태계 조성을 촉진하기 위해 우리 농가의 규모·전문·첨단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또 기업과 농가가 유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우리나라 주요 시설원예 농가의 스마트팜 도입률은 1.48%에 불과하다고 짚었다. 이에 따라 스마트팜 시설구축 비용, 작물 채산성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 등 초기 투입 비용을 상쇄할 수 있는 대규모 자본 운용이 가능한 기업의 참여를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요국들은 기업 참여 활성화 및 영농 규모화를 통해 스마트팜 산업의 경쟁력 제고하고 있다. 온실 스마트팜 선도국이자 세계 3위 농식품 수출국인 네덜란드는 농가 중심의 규모·전문·첨단화를 통해 불리한 기후조건을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본은 기업의 스마트팜 사업 참여 촉진을 위해 농지법을 개정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펼치고 있다. 미국에서는 농업의 기업화 및 규모화를 바탕으로 스마트팜을 비롯한 농업의 첨단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은 스마트팜 분야 스타트업 투자 규모 세계 1위 국가이기도 하다.


스마트팜 선도기업 역시 규모·첨단화를 통해 비용 절감과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는 등 선순환 경영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다.


일본 스프레드는 글로벌 고금리 기조 및 전력 가격 급등으로 다수의 글로벌 스마트팜 업체가 경영난을 겪었을 때도 재배 기술혁신과 공정 개선을 통해 2022년 일본 푸드테크 업계 사상 최대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스마트팜 산업 활성화를 위해 △기업 유치 활성화를 통한 스마트팜 생태계 조성 △농협 기능 확대 및 농민 펀드 활성화 등 농가 중심의 혁신을 통한 스마트팜 산업 활성화 △기술 개발·인재 양성을 통한 산업경쟁력 확보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동시에 산·학·연의 유기적 연계를 강화해 청년농 양성 등 인재를 확보하고 기존 농업인의 스마트팜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야 한다고 봤다.


장유진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스마트팜은 기후변화 및 식량안보 이슈에 대응할 수 있는 유망 산업이지만 우리나라의 스마트팜 산업은 아직 충분히 활성화되지 않았다"며 “스마트팜 산업의 생태계 조성과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기업 투자와 농가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