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6일(수)
에너지경제 포토

윤수현

ysh@ekn.kr

윤수현기자 기사모음




4월 수출 13.8%↑ 7개월 연속 증가세…‘자동차·반도체’ 효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5.01 10:38
6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1일 오후 부산항이 분주한 모습이다. 한국의 3월 수출이 작년보다 3.1% 증가하면서 6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를 기록했다. 반도체 수출은 117억달러로 2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무선통신, 컴퓨터 등 4대 정보기술(IT) 분야 품목의 수출 증가율도 모두 동시에 플러스를 나타냈다. 연합뉴스

지난달 수출이 1년 전보다 13.8% 늘며 7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자동차 수출이 역대 최대액을 갱신했고, 반도체 수출도 6개월 연속 플러스를 이어갔다. 대미(對美) 수출도 114억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며 대중(對中) 수출을 웃돌았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4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562억 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8% 증가했다. 월 수출 증가율은 지난해 10월부터 7개월 연속 늘어나고 있다. 일평균 수출(24억 5000만 달러)은 11.3% 늘며 3개월 연속 두 자릿수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품목별론 15대 주력 수출 품목 중 13개 품목 수출이 늘면서 대다수 제품이 올해 최다 품목 수출 플러스를 달성했다.


자동차 수출은 67억9000만달러로 전년 보다 10.3% 증가해 역대 최대액을 경신했다. 일반기계 수출은 1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되면서 4월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인 46억8만달러를 기록했다.


주력인 반도체 수출도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반도체 수출액은 99억6000만달러로 전년 보다 56.1% 증가했다. 디스플레이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3% 증가한 14억만달러로 올해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하면서 9개월 연속 증가했다.




디스플레이(16.3%) 수출은 14억3000만달러로 올해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하면서 9개월 연속 증가했고, 컴퓨터SSD(76.2%) ,무선통신기기(11.4%)수출도 올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각각 4개월,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인공지능(AI) 서버 투자 확대 등으로 정보통신(IT) 전방 수요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3월에 이어 4월도 메모리와 시스템 반도체 수출이 모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선박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하며 9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바이오헬스 수출은 올해 첫 두 자릿수 증가율인 21.3%을 기록하며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일반기계 수출은 1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되면서 4월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인 46억8000만달러(1.5%)를 기록했다.


석유제품(19.0%)은 2개월 연속 증가했고, 섬유(1.7%), 가전(9.4%), 자동차 부품(2.9%), 석유화학(12.3%) 수출도 1월 이후 2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지역별 수출은 주요 9대 시장 중 7개 지역으로의 수출이 늘었다. 미국(24.3%), 아세안(10.5%), 일본(18.5%), 중남미(38.2%), 인도(18.0%) 등은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고 중국과 중동도 늘었다.


대미 수출은 사상 최대 수출액인 114억달러(24.3%)를 기록, 기존 최대 실적(2023년 12월 113억 달러)을 4개월 만에 경신하며 9개월 연속 증가흐름을 이어갔다.


대중 수출(9.9%)은 3월(105억 달러)에 이어 100억 달러를 상회하는 105억 달러를 기록하며, 2개월 연속 수출이 증가했다.


대아세안 수출은 91억 1000만 달러로 9.9% 증가했다. 아세안 수출의 약 50%를 차지한 대베트남 수출이 21.4% 늘어난 영향이 컸다. 이 밖에도 일본(18.4%)은 1개월, 인도(18%), 중동(1%)은 2개월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지난달 수입은 547억3000만달러(5.4%)로 지난해 2월 이후 14개월 만에 증가했다. 에너지 수입액은 125억달러로 원유(17.8%), 가스(21.9%) 수입 증가에 따라 총 14.6% 뛰었다.


수입물량은 정유사 가동율 상승과 발전용·산업용 가스도입 수요 증가에 따라 원유는 12%, 가스는 37% 늘었다. 비에너지 수입은 2.9% 증가한 422억300만달러다.


이에 따라 지난달 무역수지는 15억 3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월간 무역수지는 지난해 6월부터 11개월 연속 흑자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올해 1~4월 누적 흑자는 106억 달러로 2019년(126억 달러) 이후 5년 만에 최대치를 갱신했다. 지난해 전체 무역적자(103억 달러)를 웃도는 규모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