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9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박에스더

ess003@ekn.kr

박에스더기자 기사모음




평창군, 당귀 주산지 명성 이어 특용작물 산업화 도모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13 22:53
6월 진부당귀밭

▲6월 진부당귀밭 제공=평창군

평창=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평창군은 '평창특용작물 산업화지원센터' 를 구축해 특용작물 생산기반을 마련하고 농가소득 증대 및 신성장산업으로 육성한다.


지난 12일 평창군 농산물유통과는 'the 특별한 브리핑데이'를 갖고 당귀를 비롯한 일천궁 등 한약재의 원재료를 이용한 의약품 산업화 거점 조성을 위한 지원센터 구축을 밝혔다.


평창특용작물 산업화지원센터

▲(예정)평창특용작물 산업화지원센터 조감도. 제공=평창군

진부면 송정리 일원에 추진하고 있는 평창 특용작물 산업화지원센터는 올해 10월 착공, 내년 7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총 사업비 60억원(국비 30억, 도비 6억, 군비 24억)을 투입한다. 지상 1층 규모 1254.76m² 이내로 GMP 제조시설, 특용작물 산업화 제품 제조·가공시설 등의 설비 및 장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평창군에서 생산하는 당귀는 전국 생산량의 50%, 강원도 생산량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지난해 190ha에서 680여t을 생산하는 성과를 거뒀다.




한약재유통지원시설 전경

▲한약재유통지원시설 전경, 제공=평창군

평창 진부당귀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2007년 지리적표시 농산물 제38호로 등록됐다. 당귀를 가공하는 한약재유통센터에서 선별작업을 거쳐 90% 이상이 한국콜마로 납품하고 있다.


이밖에도 당귀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토지개량제, 포장재 지원 등 당귀재배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영진 농산물유통과장은 “한약재 유통지원시설이 2010년도 민간위탁 방식으로 설립돼 운영하다 2020년부터 농가소득 증대 차원에서 군이 임대형 시설로 운영을 하고 있다. 운영실정이 양호하다. 보건복지부에서도 평창군을 최우수 사례로 평가하고 있다"며 “고냉지 채소의 수급 불안정과 기후의 변화로 당기와 일천궁뿐만 아니라 품목 다양화로 특용작물 산업화를 통해 농가소득 증대 향상을 이룰 것"이라고 했다.







올해 진부농협과 수탁계약을 맺은 농가의 수확예정량을 기준으로 한국콜마와 당귀 270톤, 일천궁 19톤 납품계약을 체결했다. 계약된 물량은 한약재유통지원시설에서 세척건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