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부동산신탁의 신용등급이 한 단계 강등됐다. 부동산 경기 침체에 공사비가 급등하면서 건설업계가 자금난에 시달리자 신탁사의 재무안정성이 저하된 탓이다. 특히 책임준공형 사업 과정에서 책임준공 기한을 준수하지 못하는 부실 사업장이 나올 경우 신탁사의 추가 자금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신용평가와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 18일 KB부동산신탁의 기업어음 신용등급을 'A2+'에서 'A2'로 하향했다. 대손충당금과 충당부채를 쌓으면서 대손 관련 비용이 크게 늘었고 이에 따라 수익성이 크게 저하됐다.
지난해 대손비용률은 19.7%로 지난 2022년(2.2%) 대비 17.5%포인트(p) 증가했다. 책임준공형 관리형토지신탁 충당부채 적립에 따른 특별대손충당금을 포함할 경우 조정 대손비용률은 지난해 28.4%, 올 1분기 32.7%로 늘어난다.
대손 비용이 확대됨에 따라 당기순손실 규모도 커지고 있다. KB부동산신탁은 올 1분기 46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841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데 이어 수익성 저하가 지속되고 있다. 지난 2019년부터 2022년까지만 하더라도 매년 900억~1000억원대 흑자를 기록해왔으나 상황이 달라진 것이다.
책임준공 기한을 준수하지 못한 사업장에 대한 우발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한신평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1년 내 책임준공 기한이 도래하는 사업장은 전체 책임준공형 개발신탁 사업자의 약 55%에 해당한다. 이 가운데 KB부동산신탁의 책임준공 미이행 사업장은 총 9곳으로 집계됐다.
윤기현 나신평 금융평가본부 선임연구원은 “부동산 경기 둔화로 책임준공형 사업장의 시공사인 중소 건설사의 재무건정성과 유동성이 크게 저하되면서 시공사 교체 등의 사유로 공정이 지연되고 있다"며 “일부 사업장의 경우 책임준공기한을 경과하거나 기한을 맞추기 위해 추가 사업비에 신탁사가 고유계정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책임준공 미이행 사업장 9곳에 투입된 신탁계정대(신탁사가 사업 추진을 위해 신탁계정에 대여한 자금)는 1582억원으로 이중 고정이하 분류 신탁계정대는 1198억원이다. 지난 2022년 말 기준 책임준공 기한을 못 지켜 신탁계정대가 투입된 사업장이 없었던 것과 대비된다. 이에 따라 KB부동산신탁의 자기자본 대비 순고정이하자산비율도 지난 2022년 20.2%에서 지난 3월 말 기준 91.2%로 높아졌다.
신탁계정대가 발생하면서 KB부동산신탁의 재무안정성도 크게 낮아졌다. KB부동산신탁의 1분기 부채비율은 293.5%를 기록하며 위험 수준으로 분류되는 300% 턱밑까지 올라왔다. 차입금의존도 역시 30%를 넘으면 위험하다고 간주되는데 1분기 차입금의존도는 36.8%로 집계됐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영업활동현금흐름도 악화됐다. 지난해 영업으로 창출된 현금흐름은 마이너스(-) 399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252억원) 대비 현금 유입이 크게 줄어들었다.
여윤기 한신평 수석연구원은 “저조한 수주실적이 지속될 경우 내년부터 수익창출력 저하 압력이 상승할 수 있다"며 “책임준공 기한을 준수하지 못한 사업장에 대한 우발 위험도 있어 소송리스크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