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8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김기령

giryeong@ekn.kr

김기령기자 기사모음




하반기 삼천피 기대감 커진다…“반도체 질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23 12:50

코스피 최고 3150 전망…상승 여력 충분
美 금리 인하·상장사 이익 개선 기대감 ↑
하반기 반도체·소비재·밸류업 수혜주 유망

코스피 3000 돌파 전망

▲코스피가 2800선에서 등락을 오가는 가운데 하반기 3000선을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이 흘러나오고 있다. 픽사베이

코스피가 2년 5개월 만에 2800선을 돌파한 지 하루 만에 다시 2700선으로 내려왔다. 미국 기술주가 하락하면서 국내 증시가 조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변동성에도 증권가에서는 코스피가 하반기 3000포인트를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9월 미국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과 국내 기업들의 이익 추정치가 높아지면서 '삼천피' 돌파 기대감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코스피 주가 추이

▲지난 20일 코스피는 2807.63에 마감했다. 코스피가 2800선을 돌파한 것은 2년 5개월 만으로 장중 2812.62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에 증권가에서는 코스피가 3000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내 상장사 순이익 상향…증시에 긍정적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들은 하반기 코스피 밴드 상단을 3000 안팎으로 제시했다. 삼성증권과 메리츠증권은 코스피 밴드 상단을 증권사 가운데 가장 높은 3150으로 잡았다. NH투자증권은 3100을, 한국투자증권, 현대차증권 등도 3000선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증권사들이 일제히 코스피 3000선 돌파를 전망하는 것은 올해 상장사들의 실적 개선세가 지속되고 있어서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코스피 200 기준으로 올해 국내 상장사들의 순이익 추정치는 상반기 중 7.8% 상향 조정됐다. 헬스케어 업종의 올해 당기순이익 추정치는 지난해 말 기준 1조6000억원에서 이달 기준 2조2000억원으로 40.1% 상향됐으며 IT(27.5%), 경기소비재(6.6%) 등도 순이익 전망치가 올랐다.


특히 국내 반도체 등 IT 기업의 경우 실적 호조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영업이익 전망치의 추가 상향 조정 시나리오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미국, 대만, 일본 등 주요국의 IT 하드웨어·반도체 EPS 지수는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반면 한국은 아직 2017년과 2021년의 고점 수준을 넘지 않은 상태다.




양일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200 종목의 내년 당기순이익은 올해 대비 2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주요국 증시 중 월등히 높은 수준"이라며 “순이익 추정치 상향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며 결국 주가는 이익 수준을 따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커지는 금리 인하 기대감…28일 PCE 지수 발표

각종 경제지표가 금리 인하를 시사하면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도 삼천피 전망에 힘을 싣고 있다.


이미 미국 5월 주요 물가 지표가 예상치를 하회한 데 이어 오는 28일 발표될 5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도 상승률이 둔화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일 전망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9월 기준금리 0.25%포인트(p) 인하 가능성은 지난 22일 기준 59.5%로 한 달 전(51.6%)보다 높아졌다.


최근 우리 정부도 금리 인하 환경이 조성됐다고 언급하면서 금리인하 가능성을 시사하자 국내 시장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하기도 했다. 지난 19일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현재 기준금리인 3.5%를 밑도는 3.162%까지 하락해 연중 최저치를 찍었다.


“하반기 반도체·소비재·밸류업 관련주 주도"

증권가에서는 반도체와 소비재 업종, 밸류업 정책 수혜주 등을 하반기 유망업종으로 꼽았다.


반도체의 경우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2분기에 기대 이상의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SK하이닉스를 비롯한 반도체 업종의 분기 실적 고점을 내년 말 정도로 예상됨에 따라 반도체 실적 개선은 시작 단계라는 것이다. 삼성전자에 대해서도 HBM3E 자격 검증 지연 등으로 2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보다 낮을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주가가 조정된다면 매수할 기회라고 분석했다.


미국 수출 증가로 화장품, 식음료 등 수출 소비재가 수혜를 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국내 기업이 미국향 수출을 늘리고 있어 미국 수출 증가 모멘텀을 누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한류 영향력에 기반한 식음료, 화장품 등 소비재 수출 확산이 한국 수출주의 실적을 견인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상반기 외국인 매수세를 이끌었던 밸류업 정책 수혜주의 인기도 지속될 것이라는 평가다. 금융·증권·은행 업종 등 '저평가 고배당' 종목에 대한 투심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밸류업 정책 시행 이후 저평가 고배당 주식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다"며 “외국인 매수는 대형주에 집중됐으나 주요 금융주 배당수익률은 많이 내려온 상황으로 향후 중소형주로 수혜가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