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30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정재우

jjw5802@ekn.kr

정재우기자 기사모음




경북,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총력…전국 선도 목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27 17:58

포항=에너지경제 정재우 기자 경북도는 14일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에 맞춰 '경북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경북도는 27일 포스코 국제관 중회의실에서 도 및 시군 공무원, 에너지 관련 학계 및 기업 전문가, 경북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세부계획 수립'을 위한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용역 추진 상황과 특화지역 사업모델을 공유하고, 세부 전략을 논의했다. 경북도는 산업단지형, 항만형, 원자력 청정수소형 모델 등을 제안하며 전문가들과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경북도는 분산에너지법 시행 이전부터 지역별 전기요금제 도입과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해 왔다.


2022년에는 지방시대 주도 준비위원회에서 지자체별 차등 전기요금 제도를 제안하고 국회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2023년에는 연구용역비를 편성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계획 수립 등을 위한 논의를 이어갔다.




경북도는 다양한 전문가 그룹을 구성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운영방안과 지역별 전기요금제 도입 방안을 마련하고, 에너지 관련 포럼과 설명회를 다수 개최했다. 이러한 노력은 올해 10월 최종보고회에 반영될 예정이다.


산업부는 올해 안에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세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내년 중 공모를 통해 특화지역을 지정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가이드라인 발표 후 이를 경북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계획에 반영해 특화지역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7월에는 관계기관, 전문가, 기업, 시군이 참여하는 '경북형 분산에너지 추진협의체'를 구성·운영해 특화지역 내 규제 특례 사항을 발굴하고, 10월에는 전력 자급률이 높은 비수도권 광역자치단체들과 공동포럼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병곤 경상북도 동해안전략산업국장은 “경북도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의 지리적 여건이 우수하고 국내 원전의 절반을 보유해 전력 자급률이 높아 분산에너지 사업의 최적지이다. 특화지역 지정을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