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의 부실지표가 최근 9년 래 최고치를 가리키는 가운데 1금융권인 시중은행 건전성 지표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5대 은행은 올해 상반기에만 부실채권 3조2000억원 이상을 처분하는 등 건전성 관리에 나섰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올해 상반기 3조2704억원어치 부실채권을 상·매각했다.
올해 상반기 상·매각 규모는 지난해 상반기인 2조2232억원 수준의 1.47배에 달하는 규모일 뿐 아니라 지난해 하반기 3조2312억원보다도 많았다.
은행은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채권을 '고정 이하' 등급의 부실 채권으로 분류하고 별도로 관리하다가 회수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될 경우 떼인 자산으로 간주한다.
이후 아예 장부에서 지워버리는 상각에 나서거나 자산유동화 전문회사 등에 헐값에 파는 식(매각)으로 처분한다. 상각 대상엔 주로 담보가 없는 신용대출 채권이 많고, 매각은 주로 주택담보대출 채권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5대 은행의 상·매각 규모는 2022년 2조3013억원에서 2023년 5조4544억원으로 급증했으며 올해도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다.
은행들이 건전성 관리를 위해 이같이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에 나선 것은 고금리·고물가로 내수 부진이 이어지자 은행에 자금을 빌리고 제때 갚지 못하는 가계와 기업이 늘어난 데 대한 대비로 해석된다.
실제로 일부 은행은 2022년까지만 해도 분기 말에만 상·매각에 나서왔으나 지난해부터는 분기 중에도 상·매각을 진행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모 은행의 경우 올해 상반기 상·매각 규모가 시계열 자료가 존재하는 2017년 이후 역대 최대치를 나타낸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달 대규모 상·매각 작업 이후 5대 은행의 6월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한 달 새 다소 낮아졌다. 5대 은행의 대출 연체율 단순 평균(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6월 말 기준 0.31%로 나타났다. 한 달 전인 5월 말의 0.39%보다 0.08%P 감소했다. NPL 비율 평균도 한 달 새 0.34%에서 0.29%로 0.05%P 내려갔다.
다만 새로운 부실 채권 증감 추이가 드러나는 신규 연체율의 경우 5월 0.10%에서 6월 0.09%로 0.01%P 내려가는데 그쳤다. 중소기업의 경우 5월 연체율이 0.56%까지 뛰는 등 가계(0.31%), 대기업(0.03%)보다 상황이 악화했다.
1년 전과 비교해봐도 건전성 지표는 악화됐다. 지난해 6월 말 5대 은행 연체율과 NPL 비율 평균은 각각 0.28%, 0.24%로 올해 같은 시점보다 각 0.03%P, 0.05%P 낮았다.
업계는 코로나19 대출 상환유예 등으로 가려졌던 부실까지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은행권 부실 규모가 확대될 것이란 관측이다. 이에 은행권도 당분간 철저한 건전성 관리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