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의민족 장보기·쇼핑 광고 이미지
코로나 엔데믹 이후 오프라인 수요 증가로 주춤했던 유통업계의 퀵커머스(즉시배송) 경쟁이 다시 뜨거워지고 있다.
기존에는 수요 대비 큰 비용 부담에 쿠팡, 이마트 등 기업들이 서비스를 종료하거나 축소했지만, 최근엔 높은 성장성에 퀵커머스에 도전하는 기업이 늘며 분위기가 바뀐 것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컬리가 론칭한지 2주된 퀵커머스 '컬리나우'는 주문이 갈수록 증가하며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이에 따라, 컬리는 현재 서대문‧마포 등 일부 지역에서 시행중인 서비스를 향후 다른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업계 일각에선 쿠팡의 퀵커머스 사업 진출 가능성도 높게 보고 있다. 다만 쿠팡 측은 “확인 된 내용이 없다"며 퀵커머스 사업 진출을 부인했다. 쿠팡이츠는 '쿠팡이츠마트'라는 이름으로 2021년부터 퀵커머스 서비스를 시작했으나 운영을 축소한 바 있다. 현재는 서울 송파구와 강동구에 한해 시범 운영하는 수준이다,
올들어 유통기업들의 퀵커머스 경쟁은 치열해고 있다.
퀵커머스 선두주자로 꼽히는 배달의민족(배민)은 마케팅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최근 배민은 퀵커머스 서비스명을 배민 장보기·쇼핑으로 개편하고 배우 김신록을 기용해 9년 만에 모델 광고를 시작했다. 광고는 여러 유통 브랜드를 1시간 안에 받고 싶어 하는 마음을 고백하면서 이를 배민 장보기·쇼핑으로 해결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GS리테일이 인수한 요기요도 퀵커머스 서비스를 강화중이다. 요기요가 운영 중인 퀵커머스 서비스 요마트는 최근 예약배달 서비스 시간을 오전 6시로 확대 운영중이다.
국내 대표 헬스앤뷰티스토어인 CJ올리브영도 퀵커머스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올리브영은 지난달 선보인 MFC(도심형 물류 거점) 해운대를 이달 본격적으로 가동한 데 이어, 다음달에는 MFC 사상도 가동해 부산 서부권 오늘드림 배송을 강화한다.
이는 2018년부터 선보인 '오늘드림'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서다. 올리브영 오늘드림은 온라인몰과 모바일앱을 통해 당일 주문한 상품을 1시간 이내 받아볼 수 있는 배송 서비스로, 3만원 이상 구매 시 무료로 제공된다. 오늘드림은 주 7일 상시 운영되며,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주문한 상품을 △정오~오후 1시 △오후 3시~4시 △오후 10시~자정 등 고객이 원하는 시간대에 배송해 준다.
업계는 최근 퀵커머스 시장 분위기가 바뀐 배경으로 높은 성장성을 꼽는다.
업계 관계자는 “배송 거점이 있는 편의점이 계속 즉시 배송을 늘리고 있는 것를 보면 수요가 분명 증가하다고 있다고 시장에서 판단하고 있는 것“이라며 “예전에는 수요가 그만큼 없었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안 되지만 지금 같은 경우에는 수요가 충분히 있다"고 설명했다. 즉, 기존에는 수요대비 배송거점 구축 등 비용부담이 컸지만 지금은 이를 상쇄할 만큼 수요의 증가율이 굉장히 높다는 뜻이다.
국내 퀵커머스 시장 규모는 2020년 3500억원에서 2021년 1조2000억원으로 성장했으며, 내년에는 5조원대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영애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코로나로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전환되며 폭발적 증가한 새벽배송 당시처럼 퀵커머스가 드라마틱한 변화들을 가져오기에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기업들이 소비자들이 느끼는 차별적인 혜택을 제공을 한다고 하면 수요는 지속적 늘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