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2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이찬우

lcw@ekn.kr

이찬우기자 기사모음




또 ‘운전자 과실’…‘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도입 움직임 커지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7.15 15:15

경찰, 시청역 참사 ‘운전자 과실’로 밝혀져

업계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도입 목소리

5

▲지난 2일 오전 전날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한 서울 시청역 인근 교차로에서 경찰이 완전히 파괴된 차량 한 대 주변을 통제하고 있다.

시청역 역주행 참사의 원인이 '운전자 과실'로 가닥이 잡히면서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부분 급발진 의심 사고의 원인인 '페달 오조작'을 통제할 수 있는 기능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현대자동차가 '캐스퍼 일렉트릭'에 해당 기능을 국내 최초로 탑재하면서 시장에 새로운 바람이 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5일 경찰에 따르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연구 결과 최근 9명의 사망자를 낸 '시청역 역주행 사고'의 원인이 운전자의 과실인 것으로 밝혀졌다.


국과수는 차량과 사고기록장치(EDR) 분석 결과 운전자가 가속페달(액셀)을 90% 이상 밟았다는 취지 등의 감정 결과를 경찰에 보내온 것으로 전해졌다.


또 사고 당시 브레이크등이 켜져 있는 것처럼 보인 것은 가로등이나 건물의 빛이 반사돼 보이는 난반사나 플리커 현상일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파악됐다.




즉 해당 사고의 원인도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으로 드러난 것이다. 이에 업계 관계자들은 사고예방을 위한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최근 '페달 블랙박스'에 대한 논의도 활발했지만, 이는 그저 사고원인 규명 수단일 뿐 사고 예방을 위해선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도입이 더 유용하기 때문이다.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는 엔진 회전수. 급등과 같은 비정상 조작이 감지되면 차량이 경고음을 내고 제동이나 감속하는 장치다. 실제로 일본에선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가 활성화돼 있다.


2012년 첫 출시 후 일본 내 신차의 90% 이상엔 이 장치가 달려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일본은 내년 6월 이후 출시되는 신차에 해당 기능 장착을 의무화 한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일본의 경우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를 도입한지 약 20년이 됐으며 중소기업 제품이 많아 시장 유통이 원활하며 지자체 보조금까지 나온다"며 “반면 한국은 이제야 첫걸음을 떼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한국에도 이를 도입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현대차는 국내 최초로 해당 기능 탑재 차량을 출시했다.


현대차가 지난달 출시한 '캐스퍼 일렉트릭'은 전·후방에 장애물이 감지된 상황에서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급하게 작동하는 경우 운전자의 페달 오인으로 판단해 출력 제한, 긴급 제동을 통해 사고를 예방해주는 '페달 오조작 안전 보조(PMSA)' 기능을 기본 옵션으로 탑재했다.


국내 시장을 선도하는 현대차가 해당 기능을 처음으로 도입하면서 업계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 특히 순간 출력이 비교적 강한 전기차에 유용하게 사용될 기능으로 업계에 새로운 경쟁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캐스퍼에 탑재된 PMSA 기능은 운전자의 안전한 드라이빙을 지원하기 위한 주행 보조장치의 일부"라며 “추후 신차들에도 탑재될지는 정해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정부도 오조작 방지장치의 설치를 업계에 권고할 방침이다. 특히 내년부터는 오조작 방지장치 장착 차량에 '안전도 평가' 가산점을 부여하기로 했다.


김필수 교수는 “최근 급발진 의심사고의 대부분이 고령운전자의 페달 오인사건으로 밝혀지고 있다"며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는 고령운전자의 운전미숙을 보완해줄 중요한 기능"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보다 20년 앞선 일본을 벤치마킹해야 한다"며 “에프터마켓 활성화와 적절한 보조금을 통해 이미 운행 중인 차량에도 부착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