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05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김윤호

kyh81@ekn.kr

김윤호기자 기사모음




저물어가는 메타버스 시대…통신업계, 사업 살릴 ‘묘수’ 있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7.17 15:11

일상 회복 이후 이용자 관심 줄며…주요 서비스 운영 종료

KT도 플랫폼 철수…업계, ‘AI·특화 콘텐츠’로 활성화 나서

SKT

▲SK텔레콤은 이프랜드에 팬 커뮤니티인 'K-POP 호텔'을 오픈했다.

메타버스의 시대가 시들해지고 있다. 한 때 신성장동력으로 평가됐던 국내 주요 서비스들이 앞다퉈 운영을 종료하면서다.


통신업계의 메타버스 서비스도 한파를 피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에선 통신사들이 플랫폼 활성화를 위해 어떤 승부수를 띄울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메타버스 서비스의 종료 사례가 꾸준하다. 서울시는 오는 10월 '메타버스 서울'의 문을 닫는다.


이 같은 흐름은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앞서 카카오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카카오의 메타버스 서비스를 추진하던 증손회사 컬러버스의 '퍼피레드M' 서비스 운영을 중단했다.


지난해 7월에는 한글과컴퓨터와 싸이월드제트가 설립한 동명의 합작법인이 운영하던 메타버스 플랫폼 '싸이타운'도 출시 1년 만에 서비스를 종료했다.




메타버스는 코로나19 시대를 거치며 확산된 비대면 문화로 인해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차세대 기술로도 각광받으며 다수의 업체에서 플랫폼 출시에 공을 들였다.


하지만 일상 회복 이후 야외활동이 늘며 메타버스를 향한 관심은 사그라들었다.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자체가 줄어든 영향이다.


여기에 산업계의 화두가 인공지능(AI)으로 옮겨간 점도 메타버스의 존재감이 희미해지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통신 3사의 메타버스 서비스도 이러한 흐름을 피하지 못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서비스는 종료 수순을 밟았고, 운영되더라도 이용자 성장세가 꺾이는 등 메타버스 서비스가 전반적으로 위축되는 모습이다.


KT는 오는 8월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지니버스'의 오픈베타 서비스를 종료한다. 지난 4월엔 기업 간 거래(B2B)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라운지'의 철수를 선언한 바 있다.


가시적인 고객 확보 성과를 거두지 못하며 서비스 문을 닫은 것으로 풀이된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메타버스 서비스 상황도 녹록지 않다. 기대만큼 이용자 확보가 순탄치 않기 때문이다.


다만 업계는 메타버스 사업을 지속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이번 서비스 종료에 대해 “메타버스 사업을 완전히 접은 건 아니다"며 “향후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를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현재 운영 중인 플랫폼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현재 '이프랜드', LG유플러스는 '키즈토피아'와 '유버스' 등을 주력 플랫폼으로 내세우고 있다.


업계에선 이들이 메타버스 내 AI 도입을 통해 플랫폼의 경쟁력 강화에 힘쓸 것으로로 보고 있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통신사들은 최근 AI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며 AI 기업으로 탈바꿈하고 있다"며 “현재 통신사 메타버스의 인기가 시들해진 건 사실이나, 고도화된 AI 기술이 지속적으로 플랫폼에 적용될 경우 사업이 살아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화 콘텐츠를 앞세운 점도 통신업계의 메타버스 플랫폼 활성화 전략으로 읽힌다.


SK텔레콤은 '아이돌' 카드를 꺼내들었다. 이프랜드에 인기 아이돌과 글로벌 팬들이 만나는 팬 커뮤니티인 'K-POP 호텔'을 오픈한 게 대표적이다.


LG유플러스는 키즈토피아에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선보이며 이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메타버스 시장이 쇠퇴한 건 이용자들의 이목을 끌만한 콘텐츠가 부재한 영향이 크다"며 “여러 세대를 아우르는 '킬러 서비스'가 계속 나온다면 시장이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