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9월 17일(화)
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부산 반발’ 뻔한데...기업은행, 부산시금고 입찰전 뛰어든 속내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8.30 15:32

부산시, 내달 제1금고에 부산·기업·국민은행 중 한 곳 선정
기업은행, 입찰 참여 이례적...“지역재투자 확대” 포부

지방금고 유치전, 은행권 ‘생존경쟁’ 방증
지방은행, 저출산-고령화-지역경기침체 삼중고
시중은행, 경쟁은행 많아졌는데 대출 성장은 제약

부산 경실련 등 시민단체, ‘부산은행’ 지키기 안간힘

사진 왼쪽부터 부산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사진 왼쪽부터 부산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내년부터 4년간 부산시 주금고(1금고)와 부금고(제2금고)를 운영할 금융기관 선정을 놓고 BNK부산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이 그야말로 사활을 걸고 있다.


2001년부터 부산시 제1금고 업무를 맡고 있는 BNK부산은행 입장에서는 부산은행의 텃밭인 부산시 금고 자리를 빼앗긴다면 기업의 생존을 우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반대로 시중은행 측에서는 이미 iM뱅크(전 대구은행)가 시중은행으로 전환하면서 시중은행, 인터넷은행, 지방은행 간에 거점 영업이 퇴색된 가운데 지자체 시금고를 지방은행만 맡는 것은 역차별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부산시는 다음달 중 시금고 최종 후보를 선정하고, 10월 중 약정을 체결할 예정인데, 어떤 선택을 할 지 관심이다.



부산시금고 유치전, 기업은행 예상 밖 '경쟁상대' 부상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부산시가 이달 14일 제1금고, 제2금고 제안 신청서 접수를 마감한 결과 제1금고에는 BNK부산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등 3곳이 신청했다. 제2금고에는 국민은행, 기업은행이 참여했다. 부산은행은 2001년부터 현재까지 부산시 제1금고 자리를 유지했고 국민은행은 12년간 제2금고를 맡고 있는데, 여기에 기업은행이 새롭게 경쟁에 뛰어든 것이다.


특히 업계에서는 기획재정부가 지분 59.5%를 보유한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이 이번 부산시 금고 유치전에 참전한 것을 두고 예상 밖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기업은행은 1964년부터 수원시 금고를 맡고 있는데, 수원시가 아닌 다른 지자체 금고 입찰에 지원한 것은 이례적이기 때문이다.




기업은행이 부산시 금고에 참여한 것은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차원으로 해석된다. 최근 기업은행을 비롯한 시중은행들은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로 가계대출에 성장이 한계에 직면하면서 추가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는데 분주하다. 기업은행 역시 중소기업 대출만으로는 수익성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시중은행들은 지방은행보다 출연금 등 자본력이 막강한데다, 이미 대구은행도 시중은행으로 전환하면서 수도권 경쟁이 격화된 가운데 포트폴리오 다변화 측면에서 지자체 시금고 경쟁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7월 광주은행이 조선대학교 주거래은행 자리를 신한은행에 빼앗긴 것이 대표적이다. 조선대는 광주은행과 50년을 거래했는데, 개교 이후 처음으로 시중은행을 주거래은행으로 지정했다. 과거와 다르게 지방에서도 학연, 혈연, 지연보다 실리를 중시하는 기류가 강해졌다는 방증이다.


기업은행은 이번 부산시 금고 유치전을 일종의 '테스트베드'로 삼을 것으로 관측된다. 부산시 금고를 시작으로 다른 지자체 금고 입찰에 도전장을 내밀 가능성이 크다. 만일 기업은행이 이번 부산시 금고 유치에서 고배를 마신다고 해도 얻는 효과는 많다. 앞으로 부산시뿐만 아니라 다른 지자체 시금고 유치전에 기업은행도 뛰어들 수 있다는 인식이 형성되면서 해당 지자체의 반감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지방에서도 기업은행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기업은행 측은 “부산시 금고 자금을 바탕으로 부산시와 부산 소재 중소기업, 소상공인을 위한 협력사업을 적극 추진해 부산 소재 기업 지원, 지역재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은행, 지방 경기침체로 '삼중고'...“부산시금고 무조건 사수해야"

전국 지자체 금고 은행별 운영 현황.

▲전국 지자체 금고 은행별 운영 현황.(자료=하나금융연구소)

부산시 내부에서는 국민은행과 기업은행의 부산시금고 참여를 견제하고, 부산은행을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방은행노동조합협의회는 지난주 성명을 내고 “시중은행의 지역 시금고 유치 공세는 지역자금 역외 유출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시중은행이 금고 선정에서 지방은행보다 유리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지역경제를 위한 방안을 고려해 평가하라"고 촉구했다. 본사가 서울에 있는 시중은행이 부산시금고에 선정되면 부산에서 영업해서 거두는 수익이 수도권에 유출될 수 있는 만큼 부산에 기반을 둔 부산은행을 부산시 1금고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취지다.


이미 지방은행은 저출생, 고령화, 지방 경기침체로 성장이 둔화된 가운데 부산은행이 자신들의 텃밭인 '부산시금고' 자리까지 시중은행에 빼앗긴다면 저원가성 예금 유치, 미래 고객 유치는 물론 타 기관 영업에서 불리한 고지를 점할 수밖에 없다. 은행권 관계자는 “예상과 다르게 기업은행이 부산시금고 경쟁에 참여하면서 부산은행 내부에서도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며 “부산은행 입장에서는 부산시금고 유치에 그야말로 '생존'이 걸렸다"고 밝혔다.


결국 선택은 부산시에 달렸다. 부산시를 비롯한 지자체 입장에서는 금고지기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특정 은행을 고집하기보다는 자신들에게 더욱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도록 은행 간 경쟁을 유도하는 것이 중장기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수도권 영업은 포화상태이고 인터넷전문은행과도 금리 경쟁을 벌여야 하기 때문에 시중은행 입장에서는 지자체, 지방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다"며 “(지역 색깔에서 벗어나) 은행들이 얼마나 공정하게, 평가항목과 세부 평가기준을 준수했는지가 주요 평가 대상일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과거에는 지방의 특수성을 고려해 지역 시금고 유치전에서도 지방은행을 우대하는 분위기였지만, 지금은 명분보다 실리를 더욱 중시한다"며 “지방은행들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방 시금고를 독점하기보다는 시중은행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방안들을 대승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