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9월 16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김다니엘

daniel1115@ekn.kr

김다니엘기자 기사모음




서울 내 집값 양극화 심화…“노도강, 매물 쌓이고 가격 차 커져”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9.04 15:02

서울 집값 23주 연속 상승세…양극화 심화는 여전

도봉구 아파트 매물 지난 6월 대비 2532건으로 8.3% ↑

전문가 “투자 시장 형성돼있지 않아 격차 벌어지는 것:

.

▲서울 노원구 일대 한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최근 서울만 집값이 오르는 등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그런데 서울 내에서도 강남 3구 등 이른바 1급지와 다른 지역과의 차이가 벌어지는 등 양극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영끌족'(영혼까지 끌어 모아 대출받은 사람들)의 성지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이 대표적으로, 가격은 거의 오르지 않은 상태에서 아파트 매물만 쌓이고 있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8월 넷째 주(26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보다 0.26% 오르며 23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처럼 서울 집값 급등세가 이어지면서 이른바 1급지들은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고 호가를 올리는 등 분위기가 과열되며 아파트 매물 수도 전체적으로 감소했다. 실제 아파트 실거래가 빅데이터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의 아파트 매물 수는 8만2274건으로 3개월 전(8만3425건) 대비 1.4% 감소했다. 같은 기간 동작구 아파트 매물은 3486건에서 3044건으로 12.7% 줄어들며 서울 내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으며 성북구(-8.8%), 성동구(-6.4%), 송파구(-5.3%), 서초구(-4.1%), 용산구(-3.3%) 등 서울 내 높은 입지를 자랑하는 지역들이 뒤를 이었다.


반면 노도강 지역의 경우 사정이 다르다. 매물 수가 오히려 증가세를 보였다. 도봉구는 아파트 매물은 3개월 만에 2337건에서 2532건으로 늘어나며 8.3% 증가했다. 이는 서울 내 지역 중 가장 큰 증가폭이다. 같은 기간 강북구 아파트 매물은 6.9%, 노원구는 0.6% 늘어났다.


지역 내 양극화 심화 신호는 이뿐만이 아니다. 노도강에선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단 345건만의 갭투자만이 신고됐다. 서울 전체 갭투자의 4.7%에 불과했다.




이러한 현상은 집값 급등기가 계속되는 동시에 상급지의 '똘똘한 한 채' 선호가 두드러지면서 발생했다는 분석이 이어진다. 실제 서울 내 집값 차이는 가파르게 벌어지고 있다.


KB국민은행 '월간 주택시장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5분위 배율은 5.27로 집계되면서, 2008년 12월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5분위 배율은 가격순으로 서울 아파트 순위를 매겼을 을 때 상위 20% 구간(5분위) 평균 매매가를 하위 20% 구간(1분위) 평균 매매가로 나눈 값이다. 이 지수는 평상 고가 아파트와 저가 아파트 간 가격 격차를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받는다.


5분위 배율이 5.27이라는 것은 서울 고가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저가 아파트 평균보다 5.27배 비싸다는 뜻이다.


지난해 8월까지만 해도 서울 아파트 5분위 배울은 4.8에 불과했지만, 집값 급등이 시작되며 더욱 크게 벌어졌다. 이에 따라 가격별 집값 격차도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서울 지역 상위 20%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5억7759만원으로 전년 동월(24억1568만원) 대비 1억191만원(6.7%) 올랐다. 반면 같은 기간 하위 20% 아파트 가격은 5억503만원에서 4억8873만원으로 오히려 1630만원(3.2%) 떨어졌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대출 이자를 포함한 금융 관련 압박들이 있다 보니, 대출 규모 및 활용도에 따라 집값이 양극화되는 것으로 보인다"며 “재건축 사업이 진행되는 경우 해당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올라가는데, 노도강 지역의 경우 재건축 사업 진행이 활발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급지의 경우 투자시장이 형성돼있지 않고 실수요자 중심으로 돌아가다 보니 격차가 더욱 벌어지는 것"이라며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도 여기에 영향을 끼쳤다"고 덧붙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