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철 아미코젠 회장의 경영 리스크가 현실화됐다. 3년 전 비피도 인수가 손실로 이어지며 460억원이 공중분해 됐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아미코젠은 지난달 30일 계열사인 비피도의 지분 30%와 경영권을 150억원에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아미코젠은 지난 2021년 비피도 지분 30%를 601억원에 인수했다. 불과 3년 만에 4분의 1 수준으로 매각한 것이다. 비피도는 신용철 회장이 그의 88년생 자녀를 이사에 임명할 정도로 심혈을 기울인 계열사다.
하지만 역효과만 나타난 모습이다. 지난 상반기 말 연결 기준 62억원의 매출을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 89억원과 비교해 30% 이상 감소했다. 손실 폭 역시 크게 확대됐다. 지난해 상반기 6700만원의 손실은 30배 가량 늘며 21억원으로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올해 회사 자금담당자가 80억원을 횡령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비피도 주식은 코스닥 시장에서 거래가 정지되었다.
비피도 인수, 신용철식 경영의 상징
2021년 7월 신 회장은 비피도를 한 주당 2만4500원에 인수한다. 비피도의 주가는 아미코젠의 인수가 알려지며 1만9900원까지 주가가 오르긴 했으나 비피도의 2021년 5월 말 주가는 1만700원 수준에 불과했다.
기존 주가만큼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지불했기 때문에, 당시 시장에서는 아미코젠이 과도한 웃돈을 지급했다는 의견이 많았다. 물론 그의 선택이 아미코젠을 성장시켰다면 경영 능력을 인정받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못했다.
이와 더불어, 신 회장의 선택으로 지불한 과도한 웃돈은 주주들이 부담해야 했다. 지난해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 대부분은 비피도 인수 자금 상환에 사용되었다.
유증으로 모집한 자금 중 329억은 1회차 전환사채(CB) 상환에 사용됐으며, 이는 비피도 인수를 위한 자금이었다. 1회차 CB는 500억 중 400억이 비피도 인수에 사용됐다.
신 회장은 경영상의 실책이 원인이 된 유상증자의 참여율도 30%에 그치며, “책임경영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받았다.
한편 아미코젠 주주들은 1년도 안 되는 기간 동안 비피도로 인해 두 번의 주가 급락을 경험했다. 지난 12월 유상증자 발표 시점과 비피도 배임 소식 공시 시점이다.
금곡 PF, 신용철식 경영의 정점
아미코젠은 사업적으로 우수한 회사다. 바이오 회사 중에서도 매출이 안정적인 편이다. 2019년 이후 매년 매출액이 1000억원을 넘으며,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던 배지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문제는 신용철 리스크다. 신 회장은 금곡벤처밸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에 장기간 공을 들이고 있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금곡벤처밸리의 모회사인 테라랜드는 신용철 의장의 개인회사로 알려졌다.
사업 초기에는 그의 개인 자금 중심으로 운영됐다. 회사의 직접 개입은 없었다. 하지만 그의 지분 중 41.6%가 담보로 활용될 정도로 의존도가 높아지자 아미코젠이 직접 나서기 시작했다.
아미코젠은 그동안 금곡 PF 사업에 간접적으로 참여해왔다. 아미코젠은 2022년 말 기준 금곡벤쳐밸리에 20억2000만원을 대여하거나 부산시와 금곡 PF와 관련해 양해각서(MOU)를 맺는 정도였다.
그러나 지난해 아미코젠은 금곡 PF 사업에 대한 입장을 변경했다. 아미코젠과 비피도는 금곡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을 진행하는 금곡벤처밸리의 모회사인 테라랜드에 각 30억원을 출자했다.
이로 인해 아미코젠은 금곡 PF 사업의 리스크에 노출되었으며, 바이오 산업 리스크뿐만 아니라 부동산 경기 리스크에도 직면하게 되었다
IB 업계 관계자는 “대주주와 소액주주 간 이해상충은 자본시장에 늘 잠재돼 있고 회사행위를 통해 구체적인 현상으로 나타난다"면서 “적어도 회사의 갑작스러운 가치이전으로 소액주주가 피해를 보는 현상은 방지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