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사진.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현대건설, 대우건설, GS건설 등이 만드는 소형 아파트 '알짜 단지'에 시장 이목이 쏠리고 있다. 내년 소형 아파트 입주 물량이 11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수급 불균형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다음달 평택에 '힐스테이트 평택역센트럴시티'를 공급하며 중소형 위주의 타입을 구성했다.
총 1918가구 중 599가구가 일반에 공급되는데 이 중 전용 59㎡ 타입이 382가구를 차지한다. 전용 45㎡ 초소형 타입도 32가구 공급된다. 전용 84㎡ 타입의 경우 106가구 마련됐다. 젊은 인구 비율이 높은 반면 소형 타입 아파트 공급이 적은 평택 특성상 높은 인기가 예상된다는 게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이 단지가 들어서는 평택역 일대는 1정거장 거리의 평택지제역을 비롯해 고속버스터미널, AK플라자 백화점, CGV, 뉴코아아울렛, 롯데마트 등 다양한 생활 인프라가 밀집된 곳이다. 평택에서도 주거 선호도가 높은 곳으로 꼽힌다. 인근에 총 6000가구의 신규 단지 공급까지 계획돼 있다
경기 부천에서는 GS건설 컨소시엄이 이달 부천괴안 공공주택지구에 '부천아테라자이'를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면적 50·59㎡ 총 200가구 규모로 전 가구가 소형 타입으로만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대우건설 역시 경기도 양주에서 다음달 '양주역 푸르지오 센터파크'를 분양한다. 전용면적 59·84㎡ 총 1172가구로 지어진다. 이 가운데 전용 59㎡ 타입은 897가구가 공급된다.
수도권과 지방 집값 격차가 점차 벌어지는 가운데 내년 소형 아파트 입주 물량은 11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인구 구조상 가구 구성 규모가 점차 소형화 되는 것과 상반된 양상이다.

▲전국 전용 60㎡ 이하 아파트 입주 물량 추이.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전용 60㎡ 이하 소형 타입이 총 4만6768가구 입주한다. 전체 입주 물량(22만4965가구)의 20.79%에 해당하는 수치다. 7만5414가구가 입주하는 올해와 비교해 38%가 감소한 수치다. 2014년(4만6519가구) 이후 11년 만에 가장 적은 양이기도 하다.
전체 입주 물량 대비 비율로 봐도 20.78%로 같은 기간(2014년 이후) 내 2018년(20.71%)에 이어 두 번째로 적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 부산, 대구, 충남, 세종의 물량 감소가 두드러진다. 경기는 2016년 이후 9년 만의 최저치인 1만7897가구의 소형 아파트가 내년에 입주한다. 올해(3만3867가구)의 절반 수준이다.
경기 내 31개 시·군 지역 중 과반수에 해당하는 17개 지역에서 단 한 가구의 소형 타입 입주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4개 지역 중 올해보다 물량이 감소하는 곳도 평택, 부천 등 9개나 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 상황은 조금 다르다. 올해보다 약 31% 많은 1만3904가구의 소형 타입이 입주한다. 이 외에도 광주, 대전, 울산, 전남, 전북, 제주 등도 올해보다 많은 양의 소형 아파트가 입주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등 세대 구성 형태가 점차 소형화 되는 가운데 소형 주택 공급의 감소가 어떤 후폭풍을 일으킬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520만3440가구에 불과했던 1인 가구의 수는 작년 782만9035가구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