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9월 20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이현주

zoo1004@ekn.kr

이현주기자 기사모음




[인터뷰]“수소 자동차가 불 붙었다는 얘기 들어봤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9.19 17:18

황보연 친환경수소에너지학회장 “수소경제 전환 골든타임, 적극 투자·육성 필요” 역설
“수소에너지학회, 수소기술로 발전하는 대한민국 만드는 시금석 되는 것이 목표”
“전세계적으로 수소에너지의 중요성 커져, 한국은 투자·육성 부족”

황보연 친환경수소에너지학회장.사진=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황보연 친환경수소에너지학회장.사진=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지금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수소경제 전환의 골든 타임이다. 수소 사회로의 변화를 충분히 준비하지 못하면 국가의 미래가 암울해 질 수 있다."


최근 출범한 친환경수소에너지학회의 초대 회장을 맡은 황보연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교수의 간곡한 호소였다. 황 교수는 지난 10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시립대에서 에너지경제신문 기자와 만나 인터뷰를 갖고 '수소경제 전환의 골든타임'을 강조하며 이같이 말했다.


황 교수는 원래 정통 관료 출신으로 서울시 재직 시절 기후환경본부장, 도시교통실장, 경제정책실장 등 소위 일하는 자리에서 수장을 모두 거쳤다. 특히 기후환경본부장과 경제정책실장 등을 역임하면서 수소에너지에 관심과 전문성을 가지게 됐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올해 친환경수소에너지학회를 창립해 초대 회장에 취임했다.


황 교수는 “수소에너지에 관심을 가진 학자, 전문가, 기업관계자들과 함께 연구하면서 기술을 발전시키고 상업화도 꾀해 수소 기술이 대한민국 발전의 주춧돌이 되도록 하자는 게 주된 목표"라고 설명했다.


황 교수는 특히 “전세계적으로 수소에너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계는 더 이상 화석연료에 의존하지 않고 이산화탄소가 전혀 나오지 않는 궁국의 친환경천정수소 그린수소를 에너지원으로 모든 경제활동이 이뤄지는 수소산업사회, 수소경제로 전환될 것"이라며 “꿈이 아니고 조만간 닥친 현실로 많은 국가에서 수소에너지 투자·육성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미국은 2022년 '하이드로젠(수소) 샷(Hydrogen Shot)'이라는 제목의 수소경제로의 경제전환책을 발표한 바 있다. 혁신 가속화 및 청정수소 수요 증가를 위해 도전적이면서도 달성 가능한 수소 생산단가 목표를 수립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10년 안에 청정수소 생산단가를 80% 감축해 kg당 1달러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핵심이다. 현재 재생에너지 수소의 생산단가는 kg당 5달러 수준이다.


유럽연합(EU)의 경우에도 2021년 '리파워 EU(RePower EU)' 정책을 발표해 2030년까지 그린수소를 년간 250만t 가량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정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수소에너지 투자와 육성이 부족한 상황이라는 것이 황 교수의 진단이다.


그는 “블루소소와 그린수소의 생산, 운송, 저장, 그리고 수소활용 기술에 대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세액공제 및 지원규모가 반도체·이차전지 배터리 세액공제보다 훨씬 큰 규모인데도 국내 뉴스에는 대부분 반도체나 배터리 생산에 따른 IRA 세액공제만 얘기되고 있다"며 “그만큼 아직 우리나라의 경우 청전수소의 생산 및 수소경제로의 전환 활동이 주요 이슈가 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도 수소경제로드맵을 2021년 발표했지만 청정수소 생산에 대한 구체적 지원방안 및 수소사회 전환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형성에는 충분한 역할을 다하고 있지 못하다"며 “수소사회 전환이라는 세계적인 흐름을 타지 못하고 소외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황 교수는 특히 “미래 국가 기술의 핵심은 수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소기술력을 확보하지 못하면 국가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미래 친환경에너지를 지배하는 국가, 친환경수소에너지의 생산, 저장, 운송, 활용이라는 수소생태계 전반의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미래의 세계를 주도할 것"이라며 “지구온난화라는 기후위기 속에서 석유경제,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한 기존 산업구조와 사회구조는 오래 지속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또다시 수소경제로의 전환 및 수소사회로서의 변화를 충분히 준비하지 못해서 수소에너지 빈국으로 전락한다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암울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황보연 친환경수소에너지학회장.사진=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황보연 친환경수소에너지학회장.사진=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현 정부 들어 수소 경제 추진 동력이 사라지고 있다며 안타까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황 교수는 “수소 경제활성화보다는 원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원전생태계 못지않게 수소생태계도 국가 경제의 핵심이며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육성 필요하다"며 “현대차 넥소는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부문에서 세계최고 기술력을 자랑하고 있다. 산업부분에서도 수소연료전지기술과 수소발전기술은 나날이 성장해 가고 있다. 액화수소수송선박, 암모니아수송선박을 넘어 수소연료전지추진선박으로 기술발전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금의 수소에너지 기술력은 대기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중소기업은 소외되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황 교수는 “우리나라의 주요 대기업들은 수소경제로의 전환에 맞게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두산, 효성, SK, 현대, 포스코, 삼성, 롯데 등은 청정수소의 생산, 저장, 운송, 활용 등 수소밸류체인 상의 각 분야에서 적극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면서 “중소기업들은 아직 준비가 부족하고 수소전환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런 부분에 대해 충분한 비전과 미래전략계획을 마련해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황 교수는 시민들의 수소에너지가 위험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바꾸는 것도 수소생태계 전환의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수소는 타에너지와 비교해 비교적 위험이 적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가벼워서 누출된다 해도 공기 중에 쉽게 확산해 희석돼 버리고, 특별한 농도 조건에 있지 않는 한 점화원이 있어도 폭발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는 “수소를 생각하면 시민들이 수소폭탄을 먼저 생각해 위험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수소충전시설을 짓는다고 하면 주민들의 극심한 반대에 직면하게 된다. 하지만 수소는 비교적 안전한 물질이다. 이미 상용화된 수소 자동차 중 폭발이나 불이 났다는 소식을 들은 적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소에너지 생태계 전환을 위해선 수소에너지가 위험하지 않다는 것을 시민들이 인식하게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홍보활동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