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반도체'라고 불리며 국가 전체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주목받았던 국내 배터리 산업이 중국의 추격에 흔들리고 있다. 최근 전기자동차 캐즘(일시적 수요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국내 배터리 기업이 동력을 잃은 반면 값싼 배터리를 생산하는 중국 업체의 호재가 길어지고 있는 탓이다.
2~3년 전만 하더라도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배터리 기업이 중국 업체가 쉽사리 따라올 수 없는 격차를 확보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1~2년 이후에 글로벌 시장에서도 중국 업체에 추월당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최근 3~4년 국내 배터리 점유율 급락하는데 중국은 급등
1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3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우하향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을 살펴보면 국내 3사(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의 점유율 합계는 46.9%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48.7% 대비 1.8%포인트(p) 줄어든 수준이다. 3사 모두 점유율 축소를 면치 못한 점도 눈에 띈다.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3사의 점유율은 지난 2021년과 2022년 각각 55.6%와 53.9%로 절반 이상을 기록했으나 지난해 50% 이하로 떨어졌다. 올해 상반기는 2021년에 비하면 30개월 만에 8.7%p 점유율을 잃은 것이다.
반면 중국 업체의 성장세가 무섭다. 중국 업체는 지난 2021년 점유율이 17.8%에 불과해 국내 기업과 40%p 가까운 격차가 있었다. 그러나 지난해 34.6%까지 성장해 국내 기업과의 점유율 격차를 12%p 수준으로 좁혔다. 24개월 만에 16.8%p 점유율을 개선하는데 성공한 결과다.
중국 업체의 경우 아직 올해 상반기 점유율이 합산되지 않았으나 업계에서는 성장세를 유지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체 실적을 견인하는 CATL과 BYD, 파라시스 등 글로벌 10위권 중국 업체의 점유율 합계가 지난해 31.2%에서 올해 상반기 32.7%로 1.5%p 확대됐기 때문이다.
이를 감안하면 올해 안에 점유율 격차가 한 자릿수로 좁혀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같은 흐름이 내년이나 내후년까지 이어진다면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도 중국에 추월당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국내 배터리 기업의 점유율이 하락하는 것은 전기차 캐즘 탓으로 분석된다. 국내 배터리사가 기술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캐즘 장기화로 고급 전기차 판매가 크게 줄어드는 등 상황이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캐즘 장기화로 국내 배터리 동력 실종···기술력 우위 살리기 어려워
그동안 국내 배터리 기업은 프리미엄·플래그십 전기차에 주로 탑재되는 삼원계 배터리에 집중하는 반면 중국 배터리 업체는 저가·보급형 전기차에 주로 탑재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산에 집중해왔다.
그러나 캐즘 장기화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고급차보다는 저가·보급형 중심의 전기차 라인업을 확대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산 LFP 배터리 침투율이 크게 상승하는 추세다. 업계에서는 캐즘 장기화가 지속될 경우 이 같은 현상도 강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물론 국내 배터리 기업도 LFP 배터리 개발을 추진하는 등 캐즘 장기화에 대비하고 있지만 LFP 배터리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중국 업체와 경쟁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최근 3년 동안 국내 업체가 생산한 삼원계 배터리 평균 판매가격이 중국 업체의 LFP 배터리 평균 가격보다 약 30% 높은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삼원계 배터리와 LFP 배터리의 성능 등의 우위로 이 같은 가격 차이가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배터리 기업도 LFP 배터리를 생산·판매하게 된다면 가격을 중국 업체와 경쟁할 수 있도록 30% 가량 낮춰야 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수익성이 유지될 수 있을지 우려가 나온다. 국내 업체가 우위를 확보한 기술력이 아니라 중국 업체에 유리한 가격 경쟁력에서 우열을 가려야 한다는 시각에서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불과 1~2년 전만 하더라도 전기차 전환에 대한 장밋빛 전망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화재나 충전설비 등 여러 요소 덕분에 소비자들이 전기차를 선택하기를 망설이면서 캐즘이 장기화되는 모습"이라며 “국내 배터리 기업에 부정적인 환경이 길어지고 있어 중국의 맹추격을 따돌리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