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2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김철훈

kch0054@ekn.kr

김철훈기자 기사모음




K제약바이오, 美대선 누가 되든 “나쁠 것 없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11.04 15:22

해리스·트럼프 “약가 인하·중국 바이오 견제” 정책 지지

셀트리온·삼바 등 주력 바이오시밀러·CDMO ‘수혜 유지’

해리스 ‘협력’-트럼프 ‘자국 우선’ 정책기조 맞춤대응 필요

미국 대선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왼쪽)과 공화당 대통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연합뉴스

미국 대통령 선거(현지시간 5일)가 하루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대선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다만. 제약바이오산업 관련 핵심 이슈에 관해 양대 후보간 큰 이견이 없어 누가 당선되든 우리기업에게 우호적인 환경이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선거 전날까지도 팽팽한 접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미국 공공의료보험 정책과 글로벌 바이오 공급망 재편 등 굵직한 제약바이오 관련 이슈에서 공통된 견해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된다.


해리스 후보는 민주당 바이든 행정부가 대표적 치적으로 꼽고 있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기반으로 주요 제약사에 대한 의약품 약가 인하 압박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점쳐진다.


이는 미국 재정부담과 자국 환자 경제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이 여파로 오리지널 의약품보다 저렴한 제네릭과 바이오시밀러 사용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셀트리온, 삼성바이오에피스 등 우리나라 바이오시밀러 수출 기업에게 호재인 셈이다.




트럼프 후보는 해리스 후보에 비해 정부의 압박보다는 제약사의 자발적인 약가 인하 유도를 중시하는 입장이지만 두 후보 모두 약가 인하를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중국 바이오기업을 견제하기 위한 '생물보안법' 역시 두 후보 모두 적극 지지하는 입장이다.


지난 9월 민주당과 공화당의 초당적 협력으로 하원을 통과한 생물보안법은 이르면 올해 중 상원 통과가 유력시된다.


중국 최대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인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중국 바이오기업의 미국 진출을 금지하는 생물보안법이 제정되면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우리 CDMO 기업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같은 긍정적 전망과 달리 생물보안법의 적용 유예기간, 한국과 미국의 상이한 규제·제조환경 등을 감안하면 우리 CDMO 기업들이 즉각적인 수혜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회의적 전망도 나온다.


이밖에 제약바이오 관련 세부 정책에 관해서는 두 후보간 미묘한 차이가 있는 만큼 각 시나리오별로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산업연구원(KIET)은 지난달 '미국 대선 시나리오별 한국 산업 영향과 대응 방향' 보고서를 통해 중국 견제 등 두 후보간 공통된 입장도 있지만 방법론상 차이도 있다고 소개했다.


가령, 해리스 후보는 한국·일본·인도·유럽 등 우호국 중심으로 공급망과 기술협력을 강화하는 '바이오제약 연합' 결성을 추진하는 것과 달리 트럼프 후보는 자국내 필수의약품 공급망 구축을 우선하고 통상정책을 강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따라서. 해리스 후보 집권시 바이오시밀러 수출 증가세가 유지되겠지만 약가 인하로 빅파마(거대제약사)의 신약개발 활동이 위축되면 우리기업의 기술수출이 타격을 받을 수 있는 만큼 CDMO 강점을 유지하면서 임상역량 강화, 규제혁신 등을 통해 R&D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이 보고서는 권고했다.


반면 트럼프 후보 집권시에는 필수의약품 및 의료기기에 대한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될 수 있는 만큼 우리나라는 국내 필수의약품 확보, 일본·인도 등과의 바이오시밀러 경쟁 우위 선점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은미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미국 제47대 대선에서 어떤 후보가 당선되든 우리 경제와 산업 경쟁력의 재도약을 위한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 대선 직후에는 액션 플랜이 가동돼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