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5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성철환

cwsung@ekn.kr

성철환기자 기사모음




[EE칼럼] 탄소중립시대 현실적인 생존 전략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10.20 10:13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에교협 공동대표



이덕환 서강대 교수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에교협 공동대표

탄소중립위원회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안’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계획(NDC) 상향안’을 의결했다.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줄이는 등 담긴 내용을 보면 결코 달성하기 쉽지 않은 목표다. 산업계는 "비현실적인 목표"라며 벌써부터 비명을 쏟아내고 있다.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온실가스의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탄소중립(carbon neutral)이 시대적 당위임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렵다. 공식적으로 탄소중립을 선언했거나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는 국가가 120여 개에 이른다. 우리도 국제 사회의 그런 노력을 외면할 수 없다.

하지만 무작정 따라나설 수도 없는 노릇이다. 당연히 가야 할 길이니 아무리 부담스러워도 따라가야 한다는 정부의 주장은 무책임한 것이다. 아무리 좋은 떡도 지나치게 비싸면 그림의 떡일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 온난화는 이제 과학적 사실이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기상학자들에 따르면 그렇다. 마나베 슈크로 프린스턴대 교수와 클로우스 하셀만 막스플랑크 기상연구소 창립자가 바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기후의 변화량을 정량적으로 예측·분석하는 수치해석 모델을 만들었고,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확인해주었다.

오늘날 인류가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인류가 산업혁명 이후에 배출한 온실가스의 양이 산업혁명 이전 지구가 65만 년 동안 배출한 양보다 훨씬 많다는 것은 몹시 불편한 진실이다. 탄소중립은 그런 과학적 사실에 대한 인류 사회의 뼈를 깎는 반성에서 시작된 것이다.

그런데 지구의 기후는 언제는 널뛰듯 변화해 했다. 적도 지역까지 꽁꽁 얼어붙은 대빙하기가 적어도 5차례나 찾아왔었다. 그 사이에 수많은 소빙하기와 온난기가 반복되기도 했었다. 대략 5000 년 전 홀로세 최적기의 지구는 지금보다 훨씬 더 뜨거웠다. 평균 기온이 5도 이상 높았을 것이라는 추정도 있다. 지난 1000여 년 동안 기후가 비교적 안정적이었던 사실이 오히려 놀라운 일이었다.

이산화탄소가 지구 온난화의 유일한 원인이라고 밝혀진 것은 아니다. 태양의 활동, 지구의 공전궤도, 지구 자전축의 기울어짐, 지구 자기장의 변화, 지각판의 움직임, 대형 화산과 산불, 해류의 변화 등이 모두 지구의 기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들면 온난화가 중단되고, 태풍·폭우·폭설·가뭄·폭염·한파·산불과 같은 극한적인 기상이변이 완전히 사라져버린다는 보장은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탄소중립의 노력을 외면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어차피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석탄·석유·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를 비롯한 지구상의 천연자원이 바닥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다. 우리의 생활환경이 심각하게 오염·훼손되고 있는 것도 문제다. 자원과 에너지를 무한정 낭비하던 20세기 우리의 잘못된 관행은 더 이상 용납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우리는 2018년 기준으로 세계 11위에 해당하는 7억 276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했다. 지금까지 배출한 양도 만만치 않다. 우리의 누적 배출량도 세계 17위에 해당한다. 우리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국제사회의 노력을 무작정 외면할 수 없는 이유다. 텅 빈 거름지게라도 짊어지고 따라 나설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국제 사회의 탄소중립을 질퍽한 잔치판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우리의 배출량이 전체의 1.51%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가 선진국의 몫까지 억지로 떠안을 이유는 없다. 더욱이 탄소중립은 쓰레기 종량제나 분리수거와 같은 ‘생활 속의 작은 실천’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오히려 국가 경제와 국민 생활을 가능하게 만들어준 화석연료를 포기하기 위한 혁명적인 기술혁신과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경제적 부담이 필요한 막중한 과제다.

제조업 비중이 28.3%로 높은 우리의 현실에서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가 현재 가장 잘 하고 있는 제철·정유·시멘트·석유화학 등의 주력산업을 통째로 포기해야 할 수도 있다. 여전히 미완성인 수소·태양광·풍력 등의 신재생에 들떠서 현란한 막춤을 출 상황이 절대 아니다. 돌다리도 반복적으로 두드려보고 건너는 신중함이 요구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