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해 침수피해가 전국 곳곳에서 발생하는 가운데 디지털 재해예방 구축이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17일 청주 오송 궁평 지하차도 입구를 경찰 관계자들이 통제하고 있는 현장.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가상공간에 실물과 똑같은 물체를 만들어 다양한 모의시험(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디지털트윈’이 재차 태풍 및 호우 등 재난 피해 예방을 위한 구원투수로 떠오르고 있다. 다만 여전히 활성화되지 않는 상황에서 정부와 공공의 역할이 동반돼야 한다는 것에 힘이 실린다.
19일 관련기관 및 업계에 따르면 침수나 화재, 붕괴 등 각종 재난재해와 안전사고를 두고 앞으로 가상공간의 쌍둥이 도시에서 효율적 대응이 가능할 전망이다. 여기에는 현실세계를 사이버 공간에 쌍둥이처럼 구현해 시뮬레이션하는 핵심기술인 ‘디지털트윈’이 동반된다.
앞서 이 기술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계기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면서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재난재해 서비스로 조명 받은 바 있다. 게다가 국토교통부 역시 재해예방을 위해 디지털트윈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올해는 고정밀 전자지도와 3차원 입체지도를 구축해 디지털트윈을 조기에 완성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디지털트윈을 구축하는 LX한국국토정보공사는 이미 지난 2018년부터 전주시와 함께 전국 최초 디지털트윈 표준모델을 구축해 도시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행정 서비스 모델을 구현한 바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면에서 디지털트윈으로 행정서비스를 제안해 왔다. 먼저 ‘소방안전 서비스’를 통해 골든타임 5분 이내 화재 진압과 인명구조에 활용된 바 있다. 3m 미만 협소한 도로나 상습 정체, 불법 주정차 등 도로환경을 분석해서 최단시간 안에 출동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안했다.
또 겨울철 블랙아이스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도로 폭과 시설물, 회전반경 등을 데이터로 주변 지형과 태양 고도각을 융합해 급커브나 급경사 등의 결빙취약구간을 미리 찾아내는 기능도 선보였다.
‘실시간 도로 위험물 탐지 서비스’도 있다. 차량이 취득하는 영상에 AI 기술을 결합해 도로 위험 상황을 자동을 탐지하는 기술로, 도로 균열, 도로파임(포트홀) 등 3500건의 도로 위험물을 탐지해 안전사고 예방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다.
특히 올해도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해 침수피해가 전국 곳곳에서 발생한 가운데 LX는 디지털트윈으로 수질 분석 자동화를 고안하기도 했다.
LX공사 관계자는 "수온·수심·용존산소량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전주천의 상하류 2곳에 설치해 실시간으로 하천 수질을 파악하고,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해 효율적 오염원 관리를 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더 나아가 ‘하천 수위 시뮬레이션’을 통해 IoT 센서를 통한 하천 수위를 측정하고 징검다리나 언더패스(철도·도로 아래 지나는 도로) 등 하천 시설물의 안전한 대응이 가능토록 지원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번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는 충북도가 행정안전부에게 침수위험도가 낮다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져 지자체의 행정력이 비판받은 만큼 디지털 체계 구축 필요성에 설득력이 생긴다.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지하차도 위험도를 평가하는 행안부 매뉴얼 자체에 문제가 있었다"며 "앞으로는 추후 지능형(AI) CCTV 등 디지털 체계를 적극 도입하고 수위 측정 등에 IoT를 연계한 스마트 안전관리 등도 적극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간정보 업계 한 관계자도 "기후위기 시대에 재난재해 대응을 위한 디지털트윈 등 확대 구축이 시급하고 정부와 공공의 역할이 무척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