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ody’s, 한국신용평가, KIS자산평가가 개최한 ‘2023 ESG 공동 컨퍼런스’ 참가들이 발표를 듣고 있다. |
지난 22일 콘래드 호텔 서울에서 개최된 이번 컨퍼런스에는 세계적인 탄소중립 기조에 따른 국내 금융기업들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백여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첫번째 세션인 ‘탄소전환위험과 채권자본시장’에서 △탄소전환위험 관리의 중요성 및 신용평가의 연계성 △채권자본시장의 역할 : 지속가능금융 및 전환금융 동향 및 주요 평가 요소, △발생사의 탈탄소 및 온도 정렬 로드맵의 중요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두번째 세션인 ‘기업의 탄소중립 계획 및 달성 가능성 평가’에서는 △국내외 정책동향 및 기업의 탈소중립 로드맵 평가의 필요성, 세번째 세션인 ‘Moody’s ESG 솔루션’에서는 △기후리스크 사업 및 솔루션 적용 사례 소개 △국내외 기후 규제 강화에 따른 국내 금융기관의 대응방안 △글로벌 기후리스크 규제 강화가 국내 업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정부의 기후리스크 관리를 위한 정책방향 △기타 기후리스크 관련 주요 이슈들이 논의됐다.
이번 세미나를 기획한 KIS자산평가 관계자는 "유럽, 아메리카에 비해 아시아권의 경우 전환위험의 정도가 큰 회사가 많다. 특히 2026년부터 EU에서 탄소국경세를 적용하며 애플, 볼보 등 RE100을 요구하는 기업들이 많아지고 있다"며 "한국의 경우 기업 내부적으로도 유럽에서 요구하는 기후관련 제도들이 이행 불가하다고 보고 있다는 점과 측정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관리할 수 없기에 이연 시키지 말고 미리미리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후위험의 종류에는 기후 변화로 인한 태풍, 홍수 등 ‘물리적 위험’과 자동차산업 등이 온실가스 기준 강화로 인해 매연기관 신차판매 금지 등을 당했을 때 생기는 ‘전환 위험’이 있다. 한국은 외국보다 자연재해가 많은 편이 아니라 물리적 위험이 큰 문제라고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 외에 금융권에서도 향후 SCOPE 3 (금융배출량 즉, 간접 배출량을 측정 공시할 필요가 있으며 Net ZERO로 만드는 것)가 요구될 예정인 만큼 국내외 신평사들의 ESG 리스크관리 솔루션에 대한 수요도 커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