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5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이현주

zoo1004@ekn.kr

이현주기자 기사모음




"만기 얼마 안 남았는데"...홍콩 ELS 대규모 손실 우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1.26 10:56
4r

▲홍콩H지수가 약세를 지속하면서 주가연계증권(ELS) 상품에서 수 조원대에 달하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국내 5대 은행에서 판매된 항셍중국기업지수(이하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상품에서 내년 상반기에만 3조원 이상의 손실이 불거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홍콩H지수 기초 ELS 상품에서 원금 손실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5대 은행에서(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내년 상반기에 만기가 도래하는 관련 상품 규모만 8조원이 넘기 때문이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에서 판매된 홍콩H지수 기초 ELS 상품에서 지난 7월부터 이달까지 약 83억원의 원금손실이 발생했다.

만기 도래 규모 약 181억원 중 손실 확정 금액은 약 83억원으로, 손실률이 45.9%에 달한다.

은행들은 ELS를 사모·공모를 통해 펀드(ELF)와 신탁(ELT) 형태로 판매했는데, ELS는 기초자산으로 삼은 지수 등에 연계돼 투자수익이 결정된다.

통상 6개월마다 기초자산 가격을 평가해 조기상환 기회를 주고, 만기 시 기초자산 가격이 일정 기준을 밑돌면 원금 손실이 발생한다.

홍콩H지수 기초 ELS에서 원금 손실이 잇따르는 이유는 상품이 판매된 2021년 이후 홍콩H지수가 약세를 지속했기 때문이다. 홍콩H지수는 지난 2021년 2월 1만2000선을 넘어섰으나 그 해 말 8000대까지 떨어진 뒤 현재 6000대에서 횡보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말에는 5000대가 무너지기도 했다.

ELS의 만기가 통상 3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내년이 문제란 우려가 나온다. 지난 17일 기준 5대 은행에서 판매된 홍콩H지수 연계 ELF·ELT의 만기 도래 규모는 내년 상반기 약 8조4100억원으로 집계됐다. 내년 하반기 만기 도래 규모도 3조9219억원에 이른다.

관련 상품들에서는 홍콩H지수가 약세를 지속하면서 수 조원대에 달하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녹인형 ELS 상품의 경우 상반기 만기 도래분 대부분에서 녹인이 발생한 상황이다. 통상 녹인 기준선은 최초 기준가격의 50% 정도, 최종 상환 기준선은 70% 정도로 설정된다.

기초자산 가격이 가입 기간 중 녹인 기준선인 50% 아래로 떨어졌다면, 만기 시점에서 기초자산 가격이 최종 상환 기준선인 70%를 넘어야 약정된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다. 가입 기간 중 기초자산이 50% 아래로 하락하지 않아 녹인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만기 시점에서 기초자산 가격이 녹인 기준선 50%만 넘으면 원금과 이자를 받는다.

다만 녹인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상환조건을 충족하지 않았다면 기초자산 가격의 하락률만큼 원금 손실이 발생한다.

즉 녹인형 ELS 상품은 기초자산인 지수가 가입 당시 대비 녹인 기준선(통상 50%) 아래로 밀린 적이 있고, 만기 시점에서 최종 상환 기준선(통상 70%) 수준까지는 회복돼야 원금손실을 피할 수 있다는 의미다. 현재 6000선에서 등락하고 있는 홍콩H지수가 반등하지 않는 한 원금손실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노녹인 상품도 역시 손실 가능성이 크다. 노녹인 상품은 녹인 기준선 없이 만기 시 기초자산 가격이 최종 상환 기준선 이상이면 약정된 원금과 이자를 주는데, 최종 상환 기준선은 통상 65% 정도다. 이 역시 현재의 홍콩H지수 기준으로는 원금 손실이 불가피하다.

은행권은 홍콩H지수 ELS 사태로 수조원대 원금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자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주요 은행들은 지난 6∼8월 대응팀을 구성하고 대고객 안내를 강화하는 한편, 대안 상품 연결 등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홍콩H지수 ELS 사태가 제2의 펀드 사태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zoo100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