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5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이현주

zoo1004@ekn.kr

이현주기자 기사모음




건설업계, 오너경영 강화로 위기 돌파 가능할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2.07 14:00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책임경영으로 위기 돌파



업계 "경영 승계, 오너복귀 후진적 경영 형태"

KakaoTalk_20231207_131040006

▲주요 건설사들이 오너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윤석민 태영그룹 창업주·이중근 부영그룹 창업주·허윤홍 GS건설 사장·박세창 금호건설 부회장.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주요 건설사들이 오너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건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가능성을 보이면서 책임경영으로 위기를 돌파하기 위함이다. 다만 업계에선 80세를 한참 넘어선 창업주 오너들이 경영 일선을 다시 복귀하거나 3세·4세 경영승계를 강화하는 모습과 관련해 후진적 경영 형태라는 지적이 나온다.

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윤세영 태영그룹 창업회장은 지난 4일 경영 일선 복귀를 선언했다. 올해 90세인 윤 회장은 TY홀딩스 대표이사 회장으로 선임돼 그룹 전체 경영을 총괄할 것으로 보인다. 윤 회장의 경영 복귀는 5년여 만이다. 그는 지난 2019년 3월 윤석민 회장에게 태영그룹 회장직을 물려주고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바 있다. 윤 회장의 복귀 배경은 태영건설의 유동성 위기가 꼽힌다. 태영그룹은 태영건설의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룹차원에서 올해 8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조달한 데 이어 지주회사인 TY홀딩스가 알짜 자회사인 태영인더스트리를 추가 매각하는 자구책과 사업구조조정을 강도 높게 추진 중에 있다.

태영그룹 관계자는 "건설업계 전체가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우발채무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 속에서 태영건설의 사회적 책무를 완수하기 위해 윤 창업회장이 경영 일선 복귀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82세인 부영그룹 창업주 이중근 회장도 지난 8월 말 경영복귀를 선언했다. 이 회장은 지난해 배임·횡령 혐의로 형기를 마쳤지만 법률에 따라 취업이 제한돼 경영복귀를 하지 못하다 올해 8월 광복절 특사로 사면복권 되며 경영참여 기회를 얻었다. 이 회장이 경영일선에서 물러서 있는 동안 부영그룹은 최근 2년 연속 매출이 큰 폭으로 줄고 작년에는 영업이익이 적자로 돌아서는 등 경영위기에 직면했다. 부영그룹은 8년만에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3년 대기업집단 순위에서도 재계 2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은 취임식에서 임직원들에게 "대내외적인 경제적 어려움 속에 신속하고 치밀한 의사결정이 어느 때보다 중요할 때"라면서 "우리 부영그룹은 국민을 섬기는 기업으로 책임있는 윤리경영을 실천하여 국민들의 기대에 보답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너 4세가 경영 전면에 나선 건설사도 있다. 바로 GS건설이다. GS건설은 지난달 30일 그룹 인사를 통해 허창수 회장의 장남 허윤홍 사장을 정식으로 대표이사에 선임한다고 밝혔다. 허 사장은 이전에 GS건설의 미래혁신대표(CInO)로 활동하다 지난 10월 최고경영자(CEO)로 승진했다. GS건설은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로 기업 이미지가 훼손된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인사를 두고 오너 책임경영을 강화해 기업 이미지 회복에 나선 것이란 평가다. 허 사장은 임병용 대표이사 부회장의 역할을 이어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허창수 회장과 함께 부자가 공동 대표이사 체제를 이루게 될 것으로 보인다.

금호건설도 박삼구 전 회장의 장남인 오너 3세 박세창 사장을 부회장으로 승진시켜 경영 전면에 배치했다. 이와 함께 조완석 부사장을 대표이사 사장으로 승진 발탁하며, 새로운 경영 체제의 시작을 알렸다. 금호건설은 현재 재무 건전성의 적신호가 켜진 상태다. 금호건설의 올 3분기 기준 부채 비율은 240.8%다. 전년 동기 대비 29.5%포인트(p) 늘어났다. 박 부회장은 재무 건전성을 회복하고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구축에 역량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건설사들이 이처럼 책임경영 강화를 통해 위기 돌파에 나섰지만 업계에선 경영승계를 강화하거나 오너들이 복귀하는 모습이 후진적 경영 형태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인 서진형 경인여대 교수는 "고금리와 원자잿값 상승 등으로 건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며 "책임경영 강화만으로 위기를 타개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밝혔다.

zoo100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