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싱가포르에 조성한 글로벌 혁신센터 전경. 현대차그룹은 이 곳에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해 생산라인 효율화를 도모한다. |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재계가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제조·생산 효율화 뿐 아니라 탄소중립 등 ESG경영 기조에도 잘 어울린다는 판단 아래 관련 역량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기업들이 혁신에 성공할 경우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등 우리나라 경제를 뒷받침하는 산업 경쟁력이 대폭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12일 재계에 따르면 디지털 트윈은 가상 세계에 현실 세계를 복제한 후 모의 시험을 통해 결과를 예측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기술을 뜻한다. 제품 생애주기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처음 제시된 개념이다.
삼성전자는 작년 말 조직개편을 통해 ‘디지털 트윈 태스크포스(TF)’를 신설했다. 올해 5월에는 해당 책임자로 이영웅 부사장을 영입하며 TF를 본격 가동하기 시작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반도체공정 최적화를 위해 향후 디지털 트윈 기술을 다양하게 활용할 것으로 본다.
이 부사장은 연세대학교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를 나왔다. 제너럴일렉트릭(GE), 셸 등에서 기술 통합·로보틱스 업무를 담당해온 인물이다. 글로벌 기업 재직 당시 가상의 생산라인을 만들어 제품 생산 효율화 작업을 적극 활용해왔다고 알려졌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싱가포르에 ‘글로벌 혁신센터’를 지으면서 생산라인 혁신의 핵심 기술로 디지털 트윈을 지목했다. 현대차그룹은 이 곳에 가상의 3차원 공간에 쌍둥이 공장을 재현해 생산라인 재현과 모의 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디지털 트윈을 활용하면 실제 공정을 시범 가동하지 않고도 최적화된 가동률을 산정할 수 있게 되며 물리적인 방문 없이도 제조와 물류 공정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고 업체 측은 소개했다.
현대차그룹은 로봇과 사람의 유기적인 연결에도 디지털 트윈을 사용한다. 작업자가 가상의 공간에서 지시를 내리면 부품, 차체, 조립 등 각각의 공정에 배치된 로봇들이 최적의 타이밍과 경로를 계산해 업무를 수행하는 식이다. 현대차그룹은 이 곳에서 개발·실증한 제조 플랫폼을 전세계 공장으로 확대 적용한다는 구상이다.
SK㈜ C&C는 제조현장의 문제를 원격에서 푸는 서비스를 최근 선보였다. 디지털 트윈 단계까지는 아니지만 자사 플랫폼을 기반으로 원격 영상협업 서비스를 제공해 세계 곳곳 제조업 현장 문제를 실시간으로 해결하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은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해당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소 설비를 가상으로 구현해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안전 운용 시스템을 개발하기도 했다.
LG전자는 경남 창원에 있는 ‘LG스마트파크’에서 디지털 트윈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가상의 공장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탐구해 작업자들에게 대응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30초마다 공장 전체 데이터를 분석해 10분 뒤 상황을 미리 예측하는 식이다. 다양한 모델을 한 라인에서 만드는 혼류 생산 공정에서 이 같은 기술이 특히 잘 활용된다고 전해진다.
HD현대는 미래 성장 동력을 디지털 트윈에서 찾고 있다. 당장 내년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에 참가해 관련 비전을 소개한다.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한 현장 관제 솔루션 및 원격 제어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HD한국조선해양의 경우 세계 최초로 LNG 운반선 가상 시운전 솔루션을 개발했다. 포스코는 철강 생산 공정에 디지털 트윈을 적용해 안전사고 등 리스크에 대비하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건설 공정 시뮬레이터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네이버의 행보도 발빠르다.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1000억원대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을 수주하기도 했다. ‘똑똑한 오피스빌딩’이라는 신개념 기업간거래(B2B)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삼성전자와 손을 잡기도 했다. 네이버는 이 과정에서 자사 디지털 트윈 역량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