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여름 수생태계 지점별 초미소남세균 비율. 환경부 |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작년 여름 전국 하천 16개 지점에서 미생물 유전자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초미소남세균 비율이 평균 16.8%로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
초미소남세균은 크기가 0.2∼2㎛인 광합성 세균으로 매우 작고 눈으로 식별할 수 없지만, 물 표면에 살면서 수온이 올라가면 증식을 빨리하는 특성을 보인다.
조사 지점 가운데 초미소남세균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한강수계 강천(45.2%)이었다.
이어 낙동강수계 내동 35.71%와 판문 33.44%, 금강수계 문의 24.36%, 한강수계 충주 19.83%, 영산강수계 죽산 17.96%와 승촌 16.31% 순이었다.
2022년에도 분석을 진행한 9개 지점만 보면 초미소남세균 비율이 평균 5.1%에서 18.0%로 3.5배 이상까지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판문 초미소남세균 비율은 2022년 2.2%에서 지난해 33.4%로 15.2배, 한강수계 청평은 2022년 0.8%에서 작년 15.62%로 19.5배가 됐다
초미소남세균이 늘어난 것은 기후변화로 수온이 올라갔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해 여름 평균기온은 24.7도로 평년(23.7도)보다 1.0도 높았으며, 일조시간도 554.1시간으로 평년(506.9시간)보다 9.3% 길었다.
지구가 더워지면 수생태계 내 초미소남세균의 서식 지역과 비율이 늘어난다고 국제학술지에 보고돼 있고 우리나라 하천에도 해마다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국내 연구진은 조사지역을 확대해 생태계 관측(모니터링) 고도화를 위한 환경유전자 분석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에 조사된 초미소남세균은 대부분 시네코코쿠스속으로, 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인 아나베나와 마이크로시스티스 등과는 다르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기후변화는 동식물상 변화뿐 아니라 미생물 군집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해 연구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