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5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이현주

zoo1004@ekn.kr

이현주기자 기사모음




부동산 침체 장기화에…‘울며 겨자 먹는’ 건설사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2.13 15:18

건설경기 위축으로 신규수주 목표 보수적 설정…내실경영 집중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주택공급은 확대…금융 부담 영향

대형 건설사들이 수주 목표를 줄이고 있는 반면 공급 계획은 늘리는 상반된 행보를 보이면서 그 이유에 대해 관심이 쏠린다.

▲대형 건설사들이 수주 목표를 줄이고 있는 반면 공급계획은 늘리는 상반된 행보를 보이면서 그 이유에 대해 관심이 쏠린다. 사진=픽사베이

대형 건설사들이 미래 먹거리라고 할 수 있는 신규수주 목표를 줄이고 있는 반면 올해 당장 공급하는 분양 물량은 늘리고 있다. 부동산 시장의 환경이 워낙 위험하다 보니 최대한 보수적인 행보를 하면서도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최근 몇년새 인허가 작업을 마친 신규 물량은 어쩔 수 없이 공급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1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주요 상장 건설사들은 올해 신규수주 목표를 대거 낮춰 잡으며 내실경영에 집중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올해 수주액 목표를 28조9900억원으로 정했다. 이는 지난해(32조4906억원) 수주 성과 대비 10.7% 줄어든 수치다. 삼성물산은 6.3% 줄어든 18조원, 대우건설은 12.94% 줄어든 13조2096억원, DL이앤씨는 22.09% 감소한 14조8894억원을 수주 목표치로 제시했다.


다만 GS건설의 경우 올해 신규수주 목표치를 13조3000억원으로 정해 전년보다 늘렸다. 하지만 지난해 인천 검단신도시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 여파 등을 감안하면 다른 업체들과는 상황이 다르다.


이처럼 주요 건설사들이 신규수주 목표를 줄줄이 하향 조정한 이유는 고금리 상황 지속, 자잿값·인건비 등 공사비 급등,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험 등 녹록치 않은 건설경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는 전월 대비 8.5%포인트 하락한 67.0을 기록했다. 건설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CBSI는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현재 건설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박철한 건산연 연구위원은 “현재 건설업 자체의 환경이 너무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사업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건설사들이 수주 목표를 보수적으로 설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진형 한국부동산경영학회장(경인여대 교수) 역시 “건설 경기가 침체하고 있고 건설원가 상승으로 수익성도 떨어져 있다"며 “무리하게 사업을 벌리는 것보다는 내실경영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반면 주요 건설사들은 올해 분양 물량을 대폭 늘린 상태다. 실제 올해 도급순위 기준 10대 건설사들은 총 13만6516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지난해 9만9095가구보다 37.8%나 늘어났다. SK에코플랜트의 경우 7102가구로 지난해보다 398% 늘었다. 현대건설도 올해 2만541가구를 공급할 예정인데 이는 지난해보다 144% 늘어난 물량이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분양경기와 건설경기가 좋지 않지만 금융비용 등 사업을 더 이상 지체할 수 없어 미뤄왔던 분양을 서울·수도권 등 주요 입지를 중심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실제 올해 1분기 서울에 예정된 일반분양 물량은 1538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2배 가량 많다. 이 중 지난해 큰 인기를 이어갔던 '강동구'를 비롯해 공급이 없었던 '서초구' 등 강남권 공급이 대거 예정돼 있다.


특히 삼성물산의 경우 올해 주택 공급이 모두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에 집중됐다. 반포 래미안 원펜타스(641가구), 방배 래미안 원페를라(1097가구), 도곡 래미안 레벤투스(308가구),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2678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박 연구위원은 “건설사들이 더 이상 분양을 미룰 수 없어 분양에 나서고 있는 모습"이라며 “상반기보다는 하반기에 분양이 집중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건설업계에 보릿고개는 계속될 전망이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건설투자는 2.4% 감소한 257조원 수준으로 전망된다. 금융시장 불안, 생산요소 수급 차질, 공사비 상승 등 부정적 요인이 부각될 경우 건설경기 침체는 더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연구위원은 “정부가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대책을 내놓으며 노력하고 있지만 어떻게 작용할지는 미지수"라며 “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하반기까지는 건설경기 침체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