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5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이현주

zoo1004@ekn.kr

이현주기자 기사모음




치솟는 공사비에 건설사·수요자 모두 ‘울상’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2.14 14:03

공사비 인상에 건설업계 수주 신중 행보

분양가 치솟아 경기도에서도 10억대 고분양가 단지 속출

전문가 “공사비 인상 앞으로도 계속될 것”


분양가가 치솟으면서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분양가가 치솟으면서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픽사베이

주택 건설 공사비가 치솟으면서 부동산 시장에 끼치는 악영향이 본격화되고 있다. 건설사들은 수주를 주저하고 분양가는 급등해 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꿈은 요원해지는 모습이다.


14일 주택업계에 따르면 서울 시내 재개발 사업의 '알짜배기'로 통해 온 서울 동작구 노량진1구역 재개발 사업 시공사 선정에 이례적으로 포스코이앤씨가 단독 입찰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는 15일 시공사 입찰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전날까지 입찰보증금 500억원을 내야 했는데 유일하게 납부한 것이다.


노량진1구역 재개발사업은 동작구 노량진동 일대 13만2132㎡에 지하 4층~지상33층 28개 동 2992가구(조합원 1019명)를 신축하는 사업이다. 노량진뉴타운 내 8개 구역 중에서 유일하게 시공사 선정이 완료되지 않아 노랑진뉴타운 마지막 퍼즐로 꼽혔다.


이같은 노른자위 공사에 포스코이앤씨가 단독 입찰하게 된 것은 경쟁이 유력하게 예상됐던 삼성물산과 GS건설이 높은 원자잿값과 인건비 부담이 커지며 공사 참여를 철회했기 때문이다. 조합 측이 제시한 3.3㎡(평)당 공사비 730만원으로는 사업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 삼성물산 관계자는 “관심을 가지고 지켜본 사업지이지만 공사비가 부담돼 입찰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GS건설 관계자도 “최근 어려운 대내외 환경과 사업조건이나 예정공사비 등 해당 사업에 대한 면밀한 검토 결과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건설업계에선 서울 시내 정비사업의 적정 공사비를 3.3㎡당 800만~900만원으로 보고 있다. 이마저도 입지가 떨어지면 시공사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일례로 서울 중구 신당9구역의 경우 3.3㎡당 공사비를 기존 742만원에서 840만원으로 올려 시공사 선정 입찰에 나섰지만 참여하겠다는 건설사가 없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수년째 지속된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으로 공사비 부담이 커지면서 수주 활동이 위축됐다"며 “건설사 입장에선 손해를 보고 수주를 할 수 없어 지켜보기만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치솟는 공사비는 신축 분양가도 끌어올리고 있다. 실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1㎡당 약 526만원으로 나타났다. 3.3㎡당 가격으로 환산 시 평균 1736만원으로 전년 1546만원 대비 190만원 올랐다. 또 서울 시내가 아닌 데도 신축 국민 평형(전용면적 84㎡) 분양가가 10억원이 넘는 것은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지난해 8월 경기 광명 지역의 '광명센트럴아이파크 분양가가 84㎡ 기준 10억원이 넘어선 데 이어, 올해 경기 수원 지역의 '영통자이 센트럴파크'가 10억원 이상의 분양가로 공급된다.


오는 15일 견본주택 개관을 앞둔 이 단지의 3.3㎡당 분양가는 평균 3066만원으로 전용 84㎡의 경우 9억2670만~10억2230만원으로 책정됐다. 앞서 지난해 12월 분양한 '수원 영통역자이 프라시엘'의 84㎡ 기준 분양가 8억6000만원대에 비해 2개월 사이에 분양가가 2억원 가까이 급등했다.


부동산 커뮤니티에선 영통자이 센트럴파크 분양가를 두고 “수원에서 10억원이 넘는 분양가가 나와 깜짝 놀랐다", “내 집 마련은 꿈도 꾸지 못하겠다"는 등의 반응이 나오고 있다.


대형건설사 한 관계자는 “3년새 30% 정도 공사비가 올랐다고 하는 데 간접비를 포함하면 50% 이상 올랐다고 보면 된다"면서 “사회 전반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물가의 급격한 상승이 계속 공사비와 분양가를 끌어 올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공사비 인상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김준환 서울디지털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 등의 전쟁이 안정화해야 원자잿값이 안정화될 수 있을 것"이라며 “당분간은 공사비 인상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서진형 한국부동산경영학회장(경인여대 교수)는 “인건비, 건축비 상승을 정부에서 해결하기엔 무리가 있다"며 “지속적인 공사비 인상은 주택 공급과 경기 활성화 등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