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5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이현주

zoo1004@ekn.kr

이현주기자 기사모음




“K건설, 단순 시공 넘어 디벨로퍼 도약해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2.22 13:55

[기획] 위기의 건설업계 해외에서 돌파구 찾는다(3)
올해 세계 건설시장 규모 6.0% 성장 전망·… 400억 달러 달성 ‘정조준’
투자개발형사업 세계적 추세·…체질개선 필요
전문가 “투자개발 금융지원 및 제도 개선 시급”

도급공사 위주의 해외건설 수주에서 벗어나 '투자개발형'으로 체질개선.

▲도급공사 위주의 해외건설 수주에서 벗어나 '투자개발형'으로 체질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위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픽사베이

건설사들이 국내 건설 경기 침체에 따라 해외 수주에 열을 올리면서 누적 수주액 1조 달러 시대를 앞두고 있다. 정부는 올해 연간 수주액 400억 달러를 넘기겠다는 장밋빛 전망이다. 그러나 실제 국내 경제에 도움이 되기 위해선 도급 공사 위주가 아니라 투자개발형으로 체질을 개선해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금융·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투자개발형'으로 전환


22일 해외건설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 1조 달러 시대를 앞두고 해외 도시개발사업 활성화를 첫 번째 패러다임 전환 과제로 삼고 있다.


투자개발사업은 사업참여자들이 소요 비용의 일부 혹은 전부를 부담하고, 발생하는 손익을 지분에 따라 분배해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사업 방식이다. 수익성은 높지만 투자개발 전문인력 부족과 높은 리스크 탓에 우리나라 건설사들은 투자개발형 사업에는 다소 거리를 뒀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기업의 해외건설 수주액 중 도급형 비중은 지난해 95.6%에 달한다. 반면 개발형 비중은 지난 2021년 10.1%를 기록한 뒤 2022년 3.3%, 작년 4.4%로 다시 뒷걸음질 쳤다.




김화랑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투자개발형 사업으로 진출한 기업이 많지 않다"며 “SK에코플랜트와 GS건설 등의 건설사 빼고는 수주 실적이 미미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해외 건설은 이미 투자개발형 사업으로 전환하는 추세다. 지난해 해외건설협회는 '해외건설 발주 트렌드 변화 전망 및 대응 전략' 보고서에서 “전 세계적으로 프로젝트 규모가 대형화하면서 재정 여건이 개선된 산유국들도 단순 도급형 발주를 줄이고 금융 조달을 연계하는 방식으로 발주 방식을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부채 증가 등을 이유로 투자개발형사업을 선호하는 움직임이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해외 투자개발사업 확대를 위해 우선 인재양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토부와 해외건협회는 올해 해외건설 투자개발사업 특성화대 지원사업을 새롭게 시작했다. 국민대와 중앙대 등을 투자개발사업 특성화대로 선정하고 앞으로 3년간 각각 3억7000만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이들 학교는 투자개발사업에서 요구되는 법률·금융·국제입찰, 시장분석, 사업발굴 및 기획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정부는 지난해 330억달러 달성에 이어 올해엔 400억 달러를 넘겠다는 장밋빛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해외 도시개발사업 진출의 성공 사례를 창출하기 위해 우리 기업이 강점을 가진 스마트시티 서비스 분야를 선제적으로 메뉴화하고, 전략 국가·사업 선정 및 종합 지원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우리 기업의 리스크 절감을 위해 공공기관이 직접 사업에 참여해 패키지형 진출을 주도하고, 사업의 공공 디벨로퍼로서 사업 발굴·사업화 지원·투자 지원·EXIT 지원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민간 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다. 정부 가용 수단을 활용한 도시개발 사업 진출 기반 마련, K-스마트 도시개발 수주지원단 파견, 네트워킹 지원 등 공공의 선도적 역할을 강화한다.


◇ “해외 건설 초기투자 비용 지원 절실"


해외건설 업계에선 이러한 정부의 움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무엇보다 정부의 자금 지원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A 해외건설 업체 한 관계자는 “정부가 투자개발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면서도 “해외 도시개발 초기 투자 비용이 상당하기 때문에 인허가, 타당성 조사 때 정부가 자금 지원을 해준다면 좀 더 신속하게 공사를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촉구했다.


다른 업체 B씨도 “투자개발사업은 사업 리스크가 크다"며 “리스크를 줄이거나 수익성을 더 높이기 위해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 금융 기법 발전과 정책자금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의 추가적인 제도적 지원 역시 필요해 보인다. 김화랑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대규모 민관협력사업(PPP) 사업에 대한 정부 간(G2G) 수출계약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인프라 건설 분야에 한해 '대외무역법' 제 32조의3(정부 간 수출계약의 전담기관)을 예외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