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영자총협회는 '2024년 기업 임금 정책과 생산성 제고를 위한 경영계 권고' 지난 22일 회원사에 송부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권고는 저성장 우려와 노동 시장 임금 격차 확대, 낮은 생산성 등 최근 우리 경제의 제반 여건을 감안해 △고임금 대기업 임금 인상 자제 △청년 고용 확대 △업무 효율성 제고 △임금 체계 개편을 통한 '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뒀다.
경총은 먼저, 고임금 근로자의 올해 임금은 가급적 최소한의 수준으로 인상하고, 실적이 좋은 기업의 경우 일시적 성과급 형태로 보상하되, 사회적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는 과도한 성과급은 자제할 것을 권고했다.
경총은 대기업·정규직 중심의 누적된 고율 임금 인상에서 비롯된 격차가 일자리 미스 매치를 유발하고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경총은 좋지 않은 실적에도 노조가 관성적으로 높은 임금 인상과 성과급을 요구할 경우 이에 응하지 않는 것이 적절하다는 입장이다.
또 고임금 대기업은 임금 안정을 기반으로 청년 고용 확대와 중소 협력사의 경영 여건 개선을 위해 노력하도록 당부했다. 고임금 대기업의 과도한 임금 인상은 일자리 창출 능력 약화와 노동 시장 내 미스 매치 악화로 이어져 국가 전체의 고용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아울러 업무 효율성 제고를 통해 근로 시간은 줄이고 성과는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사 관리를 강화하도록 기업들에 요청했다.
경총은 국내 근로 시간이 비약적으로 감소해 이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평균에 근접했지만 생산성 향상은 아직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지적했다. 특히 비효율적 업무 프로세스와 우리 근로자의 낮은 업무 몰입도를 우려했다.
이에 따라 기업들에 근로자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비 효율적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근로자의 비 업무적 활동으로 낭비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경총은 투명하고 공정한 평가·임금 체계를 시급히 구축해 적용하고, 저 성과자 지원과 관리 강화로 기업의 생산성과 전반적인 조직 문화 개선을 도모할 수 있도록 인사 관리 시스템 정비를 제안했다.
이동근 경총 상근부회장은 “연공형 임금 체계와 대기업 중심 노동 운동으로 인해 지나치게 높아진 대기업의 임금을 안정시키지 않고서는 여러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는 노동 시장 이중구조 해소는 불가능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선진국 대비 낮은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저성장을 극복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이라고 판단해 이 같은 권고문을 보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