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7일(목)
에너지경제 포토

강근주

kkjoo0912@ekn.kr

강근주기자 기사모음




[포커스] 이동환 고양시장 “차별없는 장애인건강권 강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5.12 22:55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사진제공=고양특례시

고양=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작년 고양특례시 등록 장애인 수는 4만2414명으로 경기도에서 수원시 다음으로 많다. 인구 107만 중 약 4%를 차지하는 장애인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고양시일산동구보건소는 장애인 의료-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관내 11개 의료기관과 연계한 장애인 맞춤형 의료-복지 서비스를 강화해 경기도 멘토보건소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12일 “지역 의료기관과 연계해 건강보건관리체계를 강화하고 통합적인 맞춤형 재활의료 서비스를 제공해 장애인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차별 없는 장애인 건강권을 실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고양특례시-일산차병원 기능형 재활팀 운영 업무협약 체결

▲고양특례시-일산차병원 기능형 재활팀 운영 업무협약 체결. 사진제공=고양특례시

고양특례시 기능형 재활팀 운영

▲고양특례시 기능형 재활팀 운영. 사진제공=고양특례시

◆ 지역병원 연계 '기능형 재활팀' 전문 건강관리


일산동구보건소는 의료사각지대에 놓인 재가장애인의 의료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해 관내 11개 의료기관과 협력해 맞춤형 의료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형 재활팀'을 운영하고 있다.


재가장애인은 이동제약,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해 2차 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재활의료기관 퇴원환자는 연계 서비스 체계가 미흡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일산동구보건소는 관내 등록 장애인과 예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재활의료기관과 연계한 방문재활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등 지역의료기관 재활의학과 전문의,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로 구성된 기능형 재활팀이 정기적으로 가정을 찾아 진료와 재활 자문을 진행한다.


대상자는 작업치료, 물리치료, 인지재활치료 등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고 상황에 따라 집단진료나 의료기관 동행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주거환경 진단과 복지용구 지원, 사용 훈련-교육도 제공한다.


작년 51명 장애인이 '기능형 재활팀' 서비스를 이용했고 100% 만족도를 보였다. 평가 결과, 삶의 질은 0.592에서 0.763으로 향상됐고 우울척도 점수는 140에서 109로 22% 감소했다. 이 중 17명은 의료기관에서 퇴원한 뒤 유선 모니터링으로 지속 관리를 받고 있다.


최근에는 차의과학대학교 일산차병원, 대한물리치료사협회 경기도회와 업무협약 체결로 참여 기관이 늘어나면서 장애인 의료 접근성이 한층 더 높아질 전망이다.


고양특례시 장애인 운동프로그램 운영

▲고양특례시 장애인 운동프로그램 운영. 사진제공=고양특례시

고양특례시 장애인 심리프로그램 운영

▲고양특례시 장애인 심리프로그램 운영. 사진제공=고양특례시

◆ 바퀴달린 일산동구보건소, 장애인 몸짱만들기 운영


일산동구보건소는 기능형 재활팀 외에도 지역자원과 연계해 건강증진, 재활치료, 심리상담 프로그램 등 장애인 건강권을 향상하는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거동이 어려운 장애인시설 장애인을 위해 찾아가는 건강검진 '바퀴달린 일산동구보건소'를 시행 중이다. 간호사, 작업치료사, 치과의사 등 보건소 의료인력이 장애인복지시설을 찾아 기초검진과 건강상담, 구강보건교육, 간단한 운동프로그램 등을 실시한다. 검진 결과, 정밀검사나 전문의료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관내 의료기관과 연계하고 있다.


고양시장애인체육회와 연계해 장애인 재활-운동 프로그램 '장애인 몸짱만들기 프로젝트'도 운영한다. 고양시민건강센터에서 재가장애인 15명을 대상으로 생활체육지도사가 매주 보치아-라켓룬 등 다양한 장애인 운동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밖에도 재가 장애인의 재활을 촉진하고 사회 참여를 높이기 위해 고양시자살예방센터와 연계해 원예치료-웃음치료 등 그룹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하반기에는 공예-건강교육 그룹 수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고양특례시 2023년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사업 성과대회 수상

▲고양특례시 2023년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사업 성과대회 수상. 사진제공=고양특례시

하남시보건소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벤치마킹 위해 고양특례시 방문

▲하남시보건소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벤치마킹 위해 고양특례시 방문. 사진제공=고양특례시

◆ 지역중심재활사업 멘토보건소 선정…경기도 유일


일산동구보건소는 작년 보건복지부 주관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사업 우수사례 성과 대회'에서 2년 연속 국립재활원장상, 보건복지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올해는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멘토보건소로 선정되며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수행능력과 지역사회재활협의체-유관기관과 협력체계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멘토보건소는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우수기관을 선정, 사업 운영과 우수사례 정보를 멘티보건소와 공유해 장애인 건강보건관리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운영된다. 작년 광주시보건소와 서산시의료원이 일산동구보건소를 방문해 재활사업 노하우를 공유하고 올래4월에도 하남시보건의료센터가 방문하는 등 벤치마킹을 위해 타 지자체 보건기관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 일산동구보건소는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운영정보 공유를 비롯해 △신규 보건소 및 담당자 상담-자문 △견학 프로그램 기획 △지역의견 수렴-건의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권역재활병원 등 유관기관과 협력을 통해 경기도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나갈 예정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