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4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이현주

zoo1004@ekn.kr

이현주기자 기사모음




상반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 3년來 최다…가격도 고점 88% 회복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16 14:00

부동산114 등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 분석

상반기 거래량 2만건 돌파 전망, 2021년 상반기 이후 가장 많아

거래가도 일부 지역 고점 100% 이상 올라

서울 잠실 아파트단지

▲서울 잠실 아파트단지


올 상반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반기 기준 3년 만에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실거래가도 올라 전고점의 88%를 회복했다.


1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부동산R114와 함께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해보니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14일 현재 계약일 기준)은 총 1만7980건으로 반기 기준 2021년 상반기(2만5820건) 이후 가장 많았다. 지난해 하반기 1만6053건에 비해서는 8%가 늘었다.


아직 6월이 2주가 더 있고, 5·6월 거래 신고 기한이 각각 이달 말, 다음 달 말인 것을 고려하면 상반기 최종 거래량은 2만건을 훨씬 넘을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거래량 증가는 주로 강남권보다는 이보다 가격이 다소 낮은 준상급지들이 이끌었다.


동작구가 지난해 하반기 622건에서 올해 상반기 796건으로 28% 늘었고, 마포구도 698건에서 880건으로 26.1%, 성동구도 793건에서 967건으로 21.9%씩 각각 증가했다. 송파구가 상반기 거래 건수로는 작년 하반기(1173건)보다 16.8% 늘어난 1370건으로 서울 25개 지역 중 가장 많았다. 가락동 헬리오시티(9500가구)와 잠실 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등 대단지 아파트를 중심으로 거래가 비교적 활발했기 때문이다. 이밖에 은평구(18.9%), 동대문구(16.0%), 영등포구(14.3%) 등도 거래가 뚜렷하게 늘어났다.




특히 시기적으로는 2분기 들어 증가세가 확연했다. 전문가들은 4월부터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3% 후반대로 하락했고, 전셋값 상승세가 1년 이상 지속돼 구매 수요를 자극했다는 점, 공사비 상승 및 입주 예상 물량 감소로 아파트값 바닥론이 힘을 받는 점 등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 정치권에서4 4.10 총선이 끝난 직후 1주택자 종합부동산세 폐지 등이 거론되면서 '똘똘한 한 채' 선호 심리가 자극받았다. 따라서 고가 아파트가 많은 강남(-0.4%)·서초(3.4%)보다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준상급지를 찾는 이들이 늘어났다.


하지만 중저가·중소형 아파트가 많은 이른바 노·도·강 지역은 맥을 못추고 있다. 강북구의 상반기 거래 신고 건수는 290건으로 작년 하반기(459건)보다 38.8% 줄었고, 노원구는 1329건으로 작년 하반기(1328건) 수준에 불과했다. 도봉구도 올545건으로 작년 하반기(521건)보다 4.6% 늘어나는 데 그쳤다.


실거래가도 오르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 거래된 서울 아파트의 실거래 최고가는 역대 최고가였던 2021년 하반기와 비교했을 때 약 88% 수준까지 상승했다. 특히 용산구의 상반기 거래가격은 2021년 하반기의 102%로 신고가를 작성했다. 서초구도 고점 대비 97.4%, 강남구 96.8%를 기록하는 등 고가 주택들의 가격 상승세가 뚜렸했다. 종로구(95.6%), 성동구(90.4%), 마포구(90.4%) 등 도심 인기 지역들의 주택가격도 고점 근처까지 회복한 모습을 보였다.



배너